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퀀텀닷 완전정복]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있도록 만든다. 배 교수는 “어떤 종류의 리간드를 어떤 구조로 부착하는지가 퀀텀닷의 기능에 매우 중요하다”며 “리간드뿐만 아니라 온도와 반응시간 등을 세밀히 조절해야 원하는 크기, 원하는 수명의 퀀텀닷을 제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최근에는 기본 재료로 12족 원소와 16족 원소가 아닌 1 ... ...
- [ 과학동아 X Geekble] 미세먼지 캐리어 마스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빨간 열매도 달린 게 공기정화 장치의 포인트 장식이 될 것 같습니다. ▲ 모든 기능을 스마트폰(블루투스) 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아두이노 보드를 활용해 회로를 제작하고 코딩 작업을 진행했다. UV램프와 미스트 펌프로 맑고 상쾌하게 두 개의 장치를 더 추가할 겁니다. 하나는 UV램프, 하나는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왼쪽 정문 입구에 우주과학관을 두는 구조로 설계됐다. 총 면적은 537만m2. 각 시설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지형을 활용하면서 진입도로와의 연계성, 혹시 모를 해일의 파고 영향까지 모두 고려한 설계다. 그중 우주센터의 핵심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발사대는 해발 390m인 마치산 허리를 ... ...
- [천리안 2B] 해양탑재체 총괄 용상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그래서 뚜껑 모양의 캘리브레이션이라는 장치를 회전시켜 감쇠 필터를 씌워주는 등의 기능이 필요한데, 이를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또 해양탑재체는 주변 지역에 쓰나미 등 해양 재난이 발생했을 때 재난 발생 지역만 선택적으로 관측할 수도 있고, 하루에 한 차례는 탑재체가 볼 수 있는 지구면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시도한 적이 있었습니다. 기존의 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해 분리했지만, 정상적인 기능이 안 나왔습니다. 대안으로 생화학적 방법이 거론됐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정제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아뿔싸, 우리 연구실에는 이 방면의 전문가가 없었습니다.그래서 우리는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다행히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쥐들을 직접 제작해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경우 생명 유지나 뇌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 단백질을 완전히 없앤 녹아웃 쥐들의 경우 생존조차 어려워 연구에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고 교수팀은 우선 쥐를 성체로 키운 뒤 필요한 유전자의 발현을 없애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어떻게?☞바로가기(104p)최근 출시된 ‘에어팟 프로’에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ling) 기능이 탑재됐습니다. 소니와 보스 제품에도 들어있죠. 말 그대로 소음을 없애는 기술입니다. 소리는 물리적으로는 파동에 해당합니다. 파동과 파동이 만나면 간섭이 생겨 증폭되거나 상쇄됩니다. 노이즈 캔슬링은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페닐알라닌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결손이 생겨 나타난다. 이로 인해 기도세포가 정상 기능을 하지 못하면 기도가 좁아지고 병원균에 의한 감염이 증가한다. 또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세포에도 피해를 줘 당뇨 질환을 유발한다. 프라임 에디팅 기술로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기도나 췌장에서 결손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든 지 21년 만인 1455년(단종 3년) 2월에 자동 시보 장치의 사용이 중지되면서 그 기능을 잃었다. 장영실이 없으니 고장이 나도 고칠 수가 없었다. 한 사람이 이룩한 과학, 그래서 후대로 이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 과학을 이룩한 장영실을 기억하자 ... ...
- 1920-2020 로봇 레볼루션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장을 남겼다. 여태 버티고 있는 게 용한 1928년산 깡통 로봇, 걷기를 포기한 바퀴 로봇, 제 기능 못 하는 얼굴을 없애버린 발광다이오드(LED) 로봇, 그리고 매끈한 도자기 피부의 따끈따끈한 신상 로봇과 개발자도 모르는 신기술로 특허 출원을 앞둔 아기 로봇까지. 우리는 이들을 보며 로봇의 지난 10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