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③ 유전체 복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만 특이하게도 잘못 결합한 RNA 염기를 복구할 수 있는 교정(proofreading) 기능이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일반적인 RNA 바이러스에 비해서는 돌연변이가 적은 편이라는 뜻이다. 돌연변이가 많은 바이러스를 꼽자면 단연 인플루엔자바이러스다. 이유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유전체 특성에서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않는 1형 당뇨병과 달리,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기는 하지만 혈당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필자소개김태. 경희대 의대에서 박사학위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분야에서 사람의 눈을 모방해 만든 시각장치는 대부분 납작한 전자칩 모양이었다. 눈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홍콩과기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실제 사람의 안구 구조와 유사한 반구형 전기화학 인공 눈(EC-EYE‧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대책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가포식(autophagy)이라는 과정은 세포가 불필요하거나 기능이 저하된 세포소기관을 분해하며 에너지를 얻는 현상인데, 단식과 같이 영양 공급이 제한되는 경우 생존을 위해 세포들이 스스로 자가포식을 수행한다. 이처럼 인체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역할을 하고 있어요. 물론 상피세포는 우리 몸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해요. 코 점막에 있는 후각상피세포는 냄새 분자와 만나 후각 신호를 뇌로 보내요. 소화기관에 있는 상피세포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우리 몸에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기도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활성화 수용체감마(PPARγ)란 이름을 가진 전사 인자인데, 이 전사 인자는 지방세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중요한 아디포넥틴(adiponectin)*, 페리리핀(perilipin)* 등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성인이 된 이후에는 지방세포의 수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실에서도 같이 일하자는 제안이 왔기 때문이다. 리치 교수는 DNA와 RNA 분자 구조와 기능 연구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히는 구조생물학자였다. 권 부문장은 “조건은 제안이 온 곳 모두 좋았지만, 거처가 정해지기 전에 친히 숙소를 잡아 주는 리치 교수의 배려에 함께 일하기로 마음먹었다”고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활용되는 ‘핫’한 신소재다. 3월 30일 퀀텀닷 연구가 한창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다기능성나노물질 및 나노소자연구실(MNEDL)을 찾았다. 퀀텀닷, 실생활에 적용되려면? “제품이 나오면 사람들은 기술 개발이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퀀텀닷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예요.”연구실을 ... ...
- [사이언스 보드] “로봇은 여러분의 일자리를 뺏지 않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상황은 생각보다 먼 미래에나 실현될 것”이라며 “우리 주변 기기에 로봇의 몇몇 주요 기능들이 임베디드(내장)되는 형태로 로봇은 점진적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하이라이트4. 힘 세고 똑똑한 슈퍼로봇은 NO, 인간과 공존 가능한 로봇 개발 중 로봇의 두 가지 요소는 운동성(Mobility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향상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광유전학은 빛에 민감한 광수용체 단백질로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허원도 KAIST 생명과학과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초빙연구위원)팀은 쥐의 광수용체 단백질 유전자를 변형시켜 빛에 대한 민감도를 55배 증가시켰다. 그 결과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