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로"(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열쇠로 상자 열고, 수학으로 퍼즐 풀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바닥에 놓인 ‘좌회전 금지 퍼즐’은 직진이나 우회전만으로 목적지까지 차를 운전하는 경로를 찾는 놀이다. 학생뿐만 아니라 어른도 이 퍼즐에 관심을 보였다. 퍼즐에 도전한 장한결 독자기자는 꾀를 내 출발선 뒤로 차를 모는 아이디어를 냈다. 옆에서 지켜본 기자도 정답이라고 생각했지만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결과를 낸다. “이 그림은 숫자 3입니다.” 물론, 틀렸다. 5라는 답을 내기 위해 필요한 경로에 가중치를 더해준다. 이렇게 시행착오를 거듭해 오차를 줄여 나간다. 서로 다른 필체로 적힌 또 다른 5를 이런 식으로 학습한다. 이제 이 인공지능은 숫자 5의 일반적인 패턴, 즉 맨 왼쪽 상단에는 아래 위로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자처럼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내에서 정보를 보내고 받을 때 빛의 경로들이 교차해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또 빛을 이용하면 컴퓨터가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이것을 정보의 ‘병렬 처리’라고 하는데요. 여러분이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는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의외의 결과였다”며, “이 연구 결과는 가려움 신호 전달경로가 고통을 전달하는 경로가 서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라고 설명했어요.그런데 통증은 매우 주관적인 감각이에요. 똑같은 정도의 자극이라도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끼거든요. 아주 미세한 자극이 피부에 닿았을 때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전염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유독 먼 거리에서도 감염된 사례가 나와 감염 경로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메르스 바이러스는 감기 바이러스처럼 변이가 심해 백신이 없고, 메르스 감염자 가운데 사망하는 사람도 있어 모두가 긴장하고 있다. 질병 유행 분석하는 질병역학질병역학이란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하나하나 따져들기에는 지나치게 복잡하다. 그래서 컴퓨터를 이용한다. 수많은 경로 중에서도 아주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다섯 개까지 좁혀 자살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는 게 그의 목표다.늙지 않는 세상이 언제쯤 찾아올까박 교수는 이외에도 DNA 전사인자, 단백질의 접힘 구조 등 다양한 ...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환절기에 피부 가려움증이 심해지는 이유를 소개한다. ▶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자극 경로를 소개한다. ▶ 피부 가려움증이 통증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설명한다. ▶ 가려움증은 왜 자꾸 자꾸 긁게 되는지 원인을 설명한다. ▶ 도입에서 풀었던 가려움증 진실 혹은 거짓 문제의 답을 하나씩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나무가 어우러져 숲을 이룰 수 있게 돕는다. 진실 3 번개 모양은 전하가 퍼지는 최적의 경로!“음…, 그러니까…, 나무뿌리 같기도 하고 핏줄 같기도 하네요….”번개는 어떤 모양이냐는 질문에 나는 한 마디로 딱 말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번개와 비슷하게 생긴 것들을 잔뜩 얘기했다.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신경계를 뉴런 단위로 해독하는 데 성공했는데, 연결상태가 너무 복잡해서 신호전달경로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데는 더 긴 시간이 걸렸다. 대략 1000억 개의 뉴런이 있고 각 뉴런이 1만 개 이상의 시냅스와 연결돼 있는 인간의 뇌를 해독하는 데는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지 예상하기 어렵다. 이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다르게 비말보다는 배설물로 감염된 사례가 더 많다. 메르스도 배설물이 하나의 감염 경로로 추정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감염 사례는 없다. 또 다른 원인은 홍콩의 배수시설이다. 건물 안에는 공공 하수도에서 나오는 유해한 가스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U자 모양의 트랩(하우스 트랩)이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