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벌과 나비가 보는 꽃은 매우 다르답니다. 비밀은 자외선에 있어요. 벌과 나비의 겹눈은 우리가 볼 수 없는 자외선을 볼 수 있거든요. 홑눈마다 자외선을 볼 수 있는 시세포가 있지요. 자외선을 볼 수 있는 자외선 카메라로 꽃을 보면 꿀이 있는 중앙으로 갈수록 더 진하게 보이는데(왼쪽), 나비와 벌도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조각들은 바다 생물의 뱃속으로 들어가 먹이 사슬에 유해 물질을 쌓아간답니다.다행히 우리나라는 페트병,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이 높은 편이에요. 버려진 페트병 가운데 재활용이 되는 비율은 2009년 73%에서 2012년 80%로 껑충 올랐지요. 2020년까지 페트병 재활용율을 88%로 올릴 계획이래요. 페트병을 ... ...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주에 또 한 걸음을 내디뎠다. 우리 시간으로 11월 13일 새벽 1시, 로제타 우주선에서 발사된 탐사로봇 필래가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 표면에 착륙했다는 소식이 지구로 전해졌다. 로제타 우주선은 유럽우주국이 2004년 발사한 혜성탐사선이다. 10년의 대장정 끝에 작은 혜성 표면에 최초로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빠르다는 거? 추리는 태양 가까이 올수록 더 빨라져서 최대 시속이 13만5000km에 이르러요. 우리가 만나는 위치에서는 시속 5만5000km쯤 됐는데, 이것도 총알보다 15배 이상 빠른 속도예요. 누군가 ‘말을 타고 달리다가 화살을 쏴서 총알을 맞추는’ 난이도라고 합디다. 정확한 비유는 아니에요. 왜냐면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들여 천천히 전자기파의 형태로 방출한다. 이것이 바로 오로라다. 사실 오로라에는 우리 눈에 보이는 색깔을 가진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 전파같은 다양한 전자기파가 들어 있다.목성과 토성에서도 보이는 오로라오로라를 우주에서 보면 어떻게 보일까. 지상에서 300~400km 고도를 날고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소행성을 채취했습니다. 운석이 소행성에서 왔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최초로 확인했죠.우리나라에서도 올해 운석이 매우 뜨거운 논쟁거리였습니다. 진주운석 말이에요. 우라늄-납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연대측정 결과, 진주 운석의 나이가 태양계 나이와 유사한 45억9700만 년에서 44억8500만 년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통과하는 것은 어렵다고 못박았다. 일단 중력이 어마어마한 블랙홀로 들어가자마자 우리 몸은 산산조각 나 버린다. 웜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또한 강한 중력을 버틸 수 있어야 한다. 영화 제작과정에 참여한 킵 손 박사에 따르면, 웜홀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은 질량이 없어야 한다. 우주의 거의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홀로그램과 입체 영상도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5G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 기술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5G 가능하게 하는 수학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부와 아날로그부로 나뉜다. 디지털부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어떻게 봐도 양자역학은 겉모습을 그럴 듯하게 만들기 위한 포장지일 뿐입니다. 언젠가 우리 몸의 작동 원리를 양자 수준에서 파악할 수 있다면, 양자역학이 의학에 쓰일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소위 양자의학이라는 것은 의학계에서도 물리학계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기사님을 불러야 합니다.Q 박수진(경일여고) 환경 분야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A 현재 우리나라 지역의 기상예측을 위해 얼마나 큰 슈퍼컴퓨터가 필요한지 알고 계시죠? 미래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인 시뮬레이션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더 크고, 더 복잡한 컴퓨터가 필요할 ... ...
이전5335345355365375385395405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