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효과는 미미했다. 여래는 오른손을 부드럽게 뻗어 (광속의 오 분의 사에 서 십 분의 구 정도였다) 원숭이의 앞을 가로막았다.원숭이가 다시 여래에게 말했다. “아직 내 솜씨를 다 보여준 게 아니야. 한 번만 더 기회를 준다면 이번엔 우주 끝까지라도 날아가 보이지.” 여래는 부드럽게 대답했다.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로봇을 실제로 개발해 발표했다. 이 로봇은 일명 ‘분자큐브’로, 한 변의 길이가 10cm 정도 되는 정육면체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로봇은 몸에 부착된 자석을 통해 주변 부품을 결합해서, 2~3분 만에 자신과 같은 모양으로 새로운 로봇을 만들어 낸다. 전기접촉을 통해 옆의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건너는 사람에게 목숨과도 같다. ‘초록불에 건너라’는 어릴 때 귀가 따갑도록 배울 정도다. 이 중요한 ‘초록불’을 계산하는 방법이 따로 있다는 사실!신호운영처는 운전자뿐 아니라, 길을 건너는 보행자의 안전도 지키기 위해 횡단보도의 신호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전도윤 : 횡단보도 ... ...
- Intro. 인류 최후의 항해, 브레인 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있다. 뇌지도 연구의 최전선은 어디일까. 연구 경쟁의 틈바구니에서, 우리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후의 항해, 브레인 맵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발표했다. 연구팀은 15년 안에 물고기인 제브라피시의 전체 뇌 기능을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연구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휴먼브레인프로젝트보다는 느린 편인데, 연구 범위가 넓고 특히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제 뇌를 연구하기 때문이다.‘브레인액티비티맵’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계획은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뿐 아니라 에너지보존법칙마저 위배하다보니, 아인슈타인이 구역질나는 이론이라고 평할정도였다. 하지만, 조머펠트의 제자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이 이론에서 돌파구를 마련할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원자를 정말로 진자 같은것들의 합으로 보자는 것이었다. 그런데 하이젠베르크의 진자에는 ... ...
- [과학뉴스] 길고양이, ‘내시’ 만들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용해 도시 전체 길고양이 개체수 변화를 계산했다. 정관절제술을 매년 개체수의 35% 정도에 실시했을 때 11년 만에 고양이 집단이 사라졌다. 이에 비해 TNR은 매년 82%를 실시해야 같은 기간동안에 사라졌다.맥카시 교수는 “길고양이 정관 절제술을 이용한다면 고양이의 본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얼음을 얼릴 때 수조 바닥에 설치된 ‘마이크로 버블 시스템’으로 40분~1시간 정도 공기방울을 주입해 밀도를 낮춘다. 시간이 길수록 얼음의 밀도가 낮아진다.마찰력은 쇄빙선과 얼음의 표면 성질에 따라 결정된다. 얼음이 완성되면 모형선 표면에 얼음 조각을 올려놓고 사방으로 움직여 마찰력을 ...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연구하자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 뼈의 주인공은 성장판이 아직 닫히지 않은 6~7살 정도의 여자 어린이였습니다. 문제는 이 어린이의 DNA가 현생인류의 DNA와 조금 차이가 났다는 점입니다. 그렇다고 네안데르탈인과도 같지 않았습니다. 현생인류와 차이가 나는 만큼 네안데르탈인과도 차이가 ... ...
- “MS와 IBM도 우리의 후발주자”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처리가 가능하게 했다.차 교수는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넣고 처리할 때보다 10~1000배 정도 빨라졌다”며, “몇 시간 며칠 걸리던 일이 몇 초에서 몇 분이면 끝난다”고 말했다. 빅 데이터에서 원하는 내용을 순식간에 얻어 낼 수 있는 만큼 이를 토대로 사람들의 의사결정 속도도 빨라진다. 차 ... ...
이전5325335345355365375385395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