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중심은 누구? 유명 연예인의 인맥이 이렇다고 가정해보자(실제상황은 아님). 그리고
다음
의 문제를 풀어보자.1. 바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웃이 가장 많은 연예인은?2. 이 안의 어디선가 소문이 발생했다. 이 경우 가장 빨리 소문을 접할 가능성이 높은 연예인은?3. 외부의 누군가가 이 안의 1명에게 ... ...
정재승 교수가 이끄는 대학생 연합 동아리 '꿈꾸는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4월 인터넷 서점 ‘알라딘’과 ‘모닝365’에는
다음
의 공지문이 떴다. “과학의 대중적 글쓰기에 관심있는 대학생들의 연합 동아리를 만들려 합니다.”이 글을 올린 사람은 다름아닌 ‘과학콘서트’ 의 저자 KAIST 정재승 교수. 그는 왜 이런 글을 올렸을까.“과학적 글쓰기 교육이 단지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어 두번째로 많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농약투입량에서도 시간당 12kg로 일본
다음
으로 높다는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다.이 때문에 정부는 올해말까지 토양과 수질오염을 최대한 줄여 전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량을 현재의 30% 이하로 떨어뜨린다는 계획이다. 결과적으로 화학농약과 비료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광수용체 세포에 투영된 밝기와 컬러를 비롯한 시각 정보는 전기적, 화학적 신호로 바뀐
다음
, 1천2백만개의 초정밀 말초 신경세포가 형성하는 시신경망을 통해 대뇌피질의 시각을 담당하는 부위로 전달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우리가 물체를 알아보는 것이다.빛이 각막을 통과해 망막의 시신경을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주목받고 있는 부위는 심장이다. 심방 윗부분에서 발생한 전기신호가 심방에 흐른
다음
심실로 이동하면서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이것이 온몸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심장 박동이다. 이때 심장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는 수십 pT(피코테슬라, 1pT=${10}^{-12}$T) 정도로 뇌 자기장보다 약간 ... ...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모두 7개의 별들로 이뤄진 이 타원형은 흡사 왕관자리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를 감상한
다음
바로 아래로 눈을 돌리면 이 타원형 바로 아래에 뿌연 것이 보인다. 이곳이 방패자리에 속해있는 은하수가 진한 영역이다.이곳에서 은하수를 따라 아래로 약 10도 가량 내려간다. 다시 은하수가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등을 연구한다 도형을 세분하여 구분된 면적이나 체적을 구하고, 다시 이들의 합을 구한
다음
한없이 세분했을 때의 극한(極限) 값으로 본래의 도형의 면적 또는 체적을 구하는 방법 구상이나 회전타원체(回轉楕圓體)에 가까운 형상의 단백질 섬유상(纖維狀) 단백질에 대응하는 말이다 W T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소련이 미국보다 우주 개발에 앞서 있다는 사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였다.그는 즉시 NASA에
다음
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도록 했다. 미국이 사회주의 소련을 이기려면 우주에 실험실을 운반하는 것이 좋은가, 달을 돌고 오는 것이 좋은가, 아니면 인간을 달에 갔다 오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에 대해 죠지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개념을 끌어와야 한다. 비선형광학 현상은 처음 루비 레이저가 선보인 바로
다음
해인 1961년 미시간대 프랑켄 교수 연구팀이 발견했다. 물질에 들어가는 입사광의 세기에 비례하는 흡수∙발광 등 일반 현상 외에 이에 비례하지 않는 여러가지 비선형현상이 발견된 것이다. 이런 현상은 결과적으로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우선 기증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수혈할 수 있는 관계여야 한다.장기이식에서 그
다음
으로 중요한 것은 주조직적합항원의 식별이다. 세포표면에 있는 주조직적합항원은 면역체계가 나인지 남인지를 판단하게 해주는 인식표다. 사람에서는 세포 중에서 주로 림프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즉 ... ...
이전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