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한곳에 모아둘 수가 없다. 따라서 이 같은 회유성 어종은 바다목장에서 키우지 못한다.
다음
은 물고기들이 좋아하는 환경을 만들 차례. 우럭이나 볼락은 그늘이나 약간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 그래서 바위틈이나 바위 밑 그늘에 많이 모인다. 사람으로 치면 하늘이 바로 보이는 곳보다 천장이나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등은 모두 아주 오래 전 태양을 의지해 살았던 생물들의 유해가 오랜 시간 땅속에 묻힌
다음
열과 압력을 받아 생겨난 것들이다. 그러고 보면 태양은 지구에 생명의 빛을 선사한 구세주인 셈이다.지구보다 1백9배나 크고 33만배나 무거우며 표면온도가 3백K(절대온도)인 지구의 20배인 6천K에 이르는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은 디알릴케톤에 첨가할 수 있는 유기 금속화합물에 대해 가장 유용하고 예민하며
다음
의 길만의 제1정색반응식으로 표시되는 반응을 이용한다 1992년에 미국의 L 아이젠할트와 O 베블렌에 의해 시작되어 J더글러스에 의해 위의 식으로 일반화되었다MKSA단위계(국제단위계)는 미터(m)를, CGS단위계는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잡티 심해이와 함께 연구팀은 자원자의 피부질환과 피부색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그런
다음
각 자원자들의 정면과 측면 사진을 찍었다.이 조사를 통해 연구팀은 한국인은 서양인과는 다른 광노화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밝혀냈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주름살과 잡티에서 드러났다.서양인은 주름이 ... ...
크레타 사람은 모두 거짓말쟁이일까?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변형이 존재하는데, 아마도 가장 재미있는 형태는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버트런드 러셀의
다음
농담이 아닐까 싶다.러셀은 철학자 조지 무어가 참으로 정직한 사람이었다면서, 어떤 사람이 무어에게 “당신은 항상 진실만을 말합니까” 라고 물었을 때 “아니오” 라고 대답한 것이 그가 평생에 한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난지 3주가 흐른 지금 카시니호가 전해주는 얘기를 들어보자.토성은 태양계에서 목성
다음
큰 행성으로, 고대부터 사람들이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었던 행성 가운데 하나다. 로마인들은 토성을 시간의 상징으로 여겼다. 또한 농업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계절에 영향을 받기에 토성을 농업의 신으로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쉽게 말해 특별한 기법 없이 땔감으로 온도를 올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그런
다음
어느 정도 고온이 되면 땔감이 재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땔감을 던지기를 계속 반복해 도자기가 충분히 산소를 공급받도록 구울 수 있다. 이것이 산화불 방식이다. 반면 환원불은 땔감이 완전히 다 타서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부딪히는 작은 문제들이 있으면 주저없이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얘기한다. 그런
다음
내년부터 점차 제도화의 기틀도 마련할 예정이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개소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개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대전 1·2공단 환경 개선 사업은 한창 진행 중이다. KAIST 환경공학과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아주대 김하진 교수의 '0을 이해 못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부문은 우세했지만, 소프트웨어 부문은 미국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었던 것. 이제
다음
세상을 이끌어갈 과학기술은 가전제품과 컴퓨터의 결합이다. 이것이 퓨전과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멀지 않은 미래에는 새로운 컴퓨터가 등장할 것이다. 현재 사용하는 폰노이만 방식의 컴퓨터는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했다. 수심 5천m에서 머물렀던 5시간이 언제 지나갔는지 모르겠다. 모선과 교신을 한
다음
잠수정은 갖고 있던 추를 모두 버렸다. 잠수정의 수심을 알리는 계기판의 숫자가 차츰 줄어들었다. 잠수정이 물위로 올라갈 때는 내려갈 때보다 조금 빨랐다.수심 2백m가 되자 동녘이 밝아오듯 물 색깔이 짙은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