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개인별 맞춤약물치료법이 미래 보건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은 분명하지만,
모든
의약품에서 100% 활용이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약물이 작용하는 메커니즘에는 다양한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하거나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현재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18세 이하의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사실은 만 6세부터 50세까지 거의
모든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는 렌즈다. 특히 콘택트렌즈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이나 각막의 모양과 두께가 시력교정수술을 받기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 또는 수술을 두려워하는 사람에게 각막굴절교정술 렌즈가 ... ...
2010 노벨상 석학 대중강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움직이는
모든
상황에서 단백질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 그는 “머리카락,뼈, 피부 등
모든
신체 구조에는 단백질이 들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학생 시절 ‘과연 우리 세포 안에 있는 단백질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을 품었다. 이를 확인하려면 세포 내 단백질 생성 공장인 리보솜의 구조부터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가속도×질량’ 크기의 힘이 작용하는 것처럼 도입한 가상의 힘이다.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힘은 두 물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존재한다. 그래서 어떤 힘이든지 그 힘에 대한 반작용력이 존재한다. 하지만 ‘관성력’은 두 물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힘이 아니기 때문에 반작용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것!한편 사람이 유머를 이해할 때는 대뇌의 전두엽과 양쪽 측두엽을 포함한 대뇌의
모든
영역이 폭넓게 작동한다. 재치 있는 말이나 예상치 못한 반전에도 같은 영역이 작동하는데, 이 부위는 창의력을 발휘하고 호감과 비호감을 느낄 때 활성화하는 영역이다.끄덕끄덕 공감하기썰렁한 농담에 크게 ... ...
죽음을 예고하는 자살 경고등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자신의 환자가 자살 충동을 느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때가 있다. 하지만 최근
모든
자살시도자는 자살 직전 구원의 신호를 보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매튜 녹 박사는 자아와 자살충동 사이에는 강력한 연결고리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정신과학 저널인 ‘심리과학’ 4월 1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런 약물에는 내성이 있어서 초기에만 체중이 감소한다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비만 치료 약물이 초기에 체중을 감량하고 이후에는 체중이 유지되도록 설계된 것을 감안하면 내성을 나타낸다고는 볼 수 없다. 또한 리덕틸과 제니칼 모두 장기간 복용하더라도 금단현상을 유발하지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유사하다. 전향보호막은 주위의 공간을 휘게 해 공격을 막아낸다. 크게 보면
모든
프로토스의 유닛이나 건물이 가지고 있는 쉴드도 같은 원리로 생각할 수 있다. 암흑 기사(Dark Templar)나 관측선(Observer)의 경우에는 주변의 공간을 휘게 하는 기술로 투명인간처럼 아예 모습을 감추기도 한다.만약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현재 선인장의 모양이 수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모든
걸 이미 알고 있던 식물은 진정한 수학 천재인가 봐요.잎의 각도는 황금비 잎이 나는 순서를 따져 보면 잎과 잎 사이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어요. 벚나무의 잎은 2바퀴 동안 5개의 잎이 나므로 (2바퀴×360°)÷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없다.
모든
점만 다지나면 된다는 이야기다. 이를 연구한 사람이 해밀턴이다. 해밀턴은
모든
꼭짓점을 단 한 번만 지나는 회로와 경로를만들었다. 회로는 시작점과 끝점이 같을 때를, 경로는 다를 때를 말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일러 회로나 경로와 달리 해밀턴 회로와 경로가 존재하는 조건은 ... ...
이전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