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제목은 좋은 제목이 아니다. 예를 들어 ‘미분방정식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은 마치 모든 미분방정식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처럼 너무 방대해 보인다. ‘2차 미분방정식의 일반적인 해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이라면 논문 내용이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제목의 예로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그러면 과학 일기는 어떻게 작성하면 될까. 과학 일기는 학교 수업, 독서, 체험 활동 등 모든 것이 소재가 된다. 책이나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떠올리고 원리와 개념을 정리해본다. 그리고 이것이 생활 속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 생각해본다. 그 과정에서 재미있었던 점, 깨달은 점, 아쉬웠던 점, ... ...
-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로버트 새폴스키 교수는 그의 저서 ‘스트레스: 당신을 병들게 하는 스트레스의 모든 것(2004년 3판 나옴)’에서 “지속적인 정신적 스트레스는 최근에 나타난 것으로, 대개는 인간과 그 밖의 사회적 영장류에만 한정된다”며 “우리는 단순히 생각만으로도 격렬하고 강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고 ... ...
-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수 있어야 한다. 재능보다는 ‘노력’ 글쓰기는 과학자를 포함해 이공계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중요한 기술이자 의무다. 이공계인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설가가 되려면 재능을 타고나야 하지만, 이공계 글쓰기는 연습을 통해 개선하고 습득할 수 있다. ... ...
- PART 2 독특한 곤충의 생애, 주기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친숙한 소리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미는 매년 나타나는 참매미다. 그러나 모든 매미가 참매미처럼 매년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북아메리카에서 17년 주기로 살아가는 17년매미가 바로 그 주인공. 17년 주기에는 소수의 원리가 숨어 있다. 17년매미는 왜 그렇게 긴 시간 동안 땅 속에서 ... ...
- 수학적 사고력으로 컨설팅하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관리도 맡으셨어. 메달 집계, 선수관리, 경기장 시스템 등 올림픽 경기와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만드셨대.“1992년에 제임스 마틴과 인연을 맺었어요. 영국의 유명한 컨설팅 회사인 제임스 마틴은 한국에 지사를 내고 싶어 했죠. 한국과학기술 연구원에서 한 시스템 연구를 인정받아 제임스 마틴과 ... ...
- 인터월드수학동아 l2010년 07호
- Prologue_ 조이 하커는 집 안에서도 길을 잃을 정도로 방향치인 소년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조이는 학교에서 시킨 활동을 하던 중 잘 모르는 동네 ... 곧 또다른 곳에서 침략 소식이 들려오고 조이는동료들과 함께 또다시 모험을 떠납니다. 모든 우주에 평화가 찾아오는 날은 과연 언제일가요 ... ...
- 법학과 수학의 교집합은 논리학수학동아 l2010년 07호
- 학문이 앞에서 말한 법논리학이에요. 수리논리학은 수학의 기초를 이루기 때문에 수학의 모든 분야에 이용된답니다. 특히 수학의 어떤 이론이 참임을 증명할 때 수리논리학을 이용하지요. 따라서 수리논리학을 잘 하면 수학도 법학도 잘할 수 있답니다.그러면 법논리학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 ... ...
- 토네이도가 온다!수학동아 l2010년 07호
- 황금비, 즉 약 1:1.618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정점에서 뻗어 나간 모든 선과 일정한 각을 이루는 곡선을 등각 나선이라고 한다. 1638년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데카르트가 처음 등각 나선이라고 불렀다. 아하! 생각이 쑥쑥! 수학으로 디자인하다정삼각형은 각 변의 중점을 ... ...
- 여름 밤하늘로 떠나는 은하수 여행과학동아 l2010년 07호
- 볼 수 있어 하늘에 펼쳐진 은하수가 가장 화려하다.사실 밤하늘에서 맨눈에 볼 수 있는 모든 별은 우리 은하에 속해 있다. 지구는 우리 은하의 원반에 파묻혀 있는데, 두께 2000광년에 지름 10만 광년인 이 원반에는 적어도 2000억 개의 별들이 모여 있다. 은하수가 흰 비말처럼 보이는 이유는 원반의 ... ...
이전5275285295305315325335345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