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70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국정감사]과학문화 확산 사업, 수도권에 편중
2014.10.17
2011년 부산에서 열린 대한민국 과학축전 현장 - 동아일보DB 제공 과학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 수도권에 편중돼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국정감사 자료를 그대로 옮겨 왔다는 물의도 일었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이재영 의원(새누리당)은 ... ...
요즘 대세 쌍둥이, 자꾸 태어나는 이유는?
2014.10.10
자연스럽게 분리돼 쌍둥이가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일란성 쌍둥이의
정확
한 발생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일란성 쌍둥이의 생김새가 같다고 해서 유전자까지 일치하지는 않는다. 올해 2월에는 일란성 쌍둥이라도 돌연변이로 인해 일부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달라진다는 사실이 ... ...
“10년내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
2014.10.10
백 교수팀이 발견한 간암 표지 단백질은 간암 환자에게만 발견된 것으로 초기 간암도
정확
히 진단할 수 있다. 백융기 연세대 교수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 연구가 질병 진단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 마드리드=이재웅 기자 ilju2@donga.com 제공 ●세계 단백질 연구, 한국이 주도 ... ...
40cm ‘조종사 로봇’으로 비행기 조종 세계 첫 성공
2014.10.03
조종사 로봇은 먼저 비행기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이용해 현재 비행기의
정확
한 위치와 속도 정보를 파악한다. 또 각종 센서에서 기체의 기울기, 높낮이 정보도 받는다. 로봇은 이런 정보를 미리 입력된 비행기 항로와 비교한 뒤 비행기가 수평을 유지하며 목적지까지 날아가도록 ... ...
아이들이 뛰어 놀아야 하는 과학적인 이유
2014.09.29
갖는 아이들이 인식능력과 관련된 작업에서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2배가 넘는
정확
도를 보였다. 또한 인식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 정도가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아이들의 인식능력과 방과 후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빈도와 횟수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연구자는 찰스 크레스지 박사(현 사우디 아람코 최고기술책임자)로, 메조다공성물질의
정확
한 구조와 제조방법을 1992년 과학저널 네이처에 소개한 인물이다. 메조다공성물질은 1970년대 처음 발견됐지만 이 논문이 발표되기 전까지 미지의 물질로 남아있었다. 유 단장은 여기에 ‘실용성’이라는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진단할 수 있는 뇌 영상장치도 이 대열에 동참했다. KAIST 연구진은 뇌 이상 증상을
정확
하게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장비를 개발해 사업화를 앞두고 있다. - KAIST 제공 배현민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근적외선 뇌 영상장치’는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면서도 해상도가 ... ...
‘슈퍼 렌즈’로 보면 100nm 보다 작은 세계도 선명
2014.09.17
입자를 뿌렸다. 이렇게 만든 시료를 기존 현미경으로 관찰하자 빛의 간섭현상이 생겨
정확
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 박용근 교수는 “지금까지 300nm 보다 작은 물체의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했지만 살아 있는 세포는 여전히 관찰하기 어려웠다”며 “이번에 개발된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실제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전극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 지는
정확
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이 실험에 이용한 동전 모양 배터리. 검은색 둥근 물체가 양전극이다. -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제공 연구진은 동전 모양의 배터리를 여러 개 만들어 조금씩 다른 속도로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통증을 느끼는 세포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된 위치가
정확
한지 뇌와 손의 실시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켜게 했습니다. 그랬더니 실제로 수술 초반 심하게 떨리던 손이 점차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같은 이유로 수술 도중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