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세포막의 흥분이 전달되는 케이블이고 축색을 싸고 있는 수초막은 신호의 전달이, 적은
에너지
를 소모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게끔 보조한다. 신호가 축색을 따라 전달되는 속도는 축색 지름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데, 빠른 경우 초당 1백m에 이른다.축색의 끝 부분은 가지로 갈라져 있다. ... ...
배타의 원리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효한 것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모든 유형의 원자들이 갖는 성격을 그들의 화학적 구조,
에너지
관계와 연관지어 설명한 것이다. 즉 원소의 주기율(화학자들은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을 완벽하게 설명해 준 셈이다.시간이 지나면서 양자 이론은 매우 섬세히 다듬어졌으며 전자들의 궤도가 태양을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몸이 얼면 호흡과 혈액순환이 멈춰지고 모든 기관은 산소와 혈액으로부터 제공되는 어떤
에너지
도 공급받을 수 없게 된다.이들이 생존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자신의 체액 빙점을 낮추는 특수한 물질을 만드는 것일까. 아니면 얼음에 저항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걸까. 이도저도 아니면 정말 '냉동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대답은 없다." (Viele Fragen ! Keine Antworten !).
에너지
보존의 법칙(law of conservation of energy)
에너지
가 그 형태를 바꾸거나 물체에서 물체로 옮기거나 해도 그 전체 양은 변함이 없다는 법칙.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물리법칙인데 열역학 제1법칙이라고도 한다. 이 법칙은 19세기 중엽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제작해 세계적인 랠리에 참가해야 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솔라카의 제작과정은 태양
에너지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으므로 꼭 태양전지자동차를 염두에 두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한번 연구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모습이었다. 심지어는 목성의 대홍점같은 "대흑점"도 있었다. 도대체 해왕성이 이러한
에너지
의 공급을 어디로부터 받을까? 이는 천문학자들을 매혹시키는 문제이기도 하다.그러나 지난 9월 24일 윌버와 몬탈보가 발견한 폭풍은 해왕성에서 일어났던 것도 아니었다. 그것은 토성의 조그마한 ... ...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미래 고도정보화사회를 결정짓는 핵심이 될 것이다. 미래의 고도정보화사회에서는
에너지
자원 식량 의료 복지 등 모든 분야에서 수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2차원 및 3차원 분포를 갖는 다양한 영상과 복잡한 물체의 형상에 관한 수많은 정보를 신속히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날로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위한 기능을 다 한다. 주위환경으로부터 영양분을 섭취해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를 얻기 위한 대사, 그리고 세포가 필요로 하는 물질의 합성 등이 하나의 세포에서 이루어진다.우리몸도 기능적 최소단위는 세포다. 즉 생체는 각기 고유의 기능을 가진 세포들이 모여 조직 장기를 이룬다. ... ...
PARTⅢ 레이저의 응용 산업 전분야에서 종횡무진 활약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두 원자의 핵이 결합하여 무거운 다른 원소를 만들 때 질량의 일부가 엄청난 양의
에너지
를 방출하는 현상이다.핵융합현상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원자를 1억℃이상 가열시켜야 플라즈마 상태가 되어 핵융합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1억℃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은 레이저에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상태보다도 엔트로피(무질서도)가 증가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처음 상태는
에너지
가 밀도가 큰 입자들과 낮은 입자들이 구분된 상태라고 볼 수 있고, 나중상태는 그 구분이 없어져 완전히 뒤섞인 상태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예로 어떤 분류에 따라 책장에 정리돼 꽂혀 있던 수많은 책들이 ...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