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2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에 과학]지구온난화 맞서 1.5도 사수할 해양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그 중 하나입니다. 온실가스를 빨아들이는 해양생물을 위험 지역에 재배치하고 청정
에너지
자원을 개발하는 일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바닷가 인근에 풍력발전소나 조력발전소를 지어 전기를 얻는 방법도 온실가스를 줄이고 지구온난화를 막는 데, 효과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 ...
지구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질문들을 했답니다. Q 왜 단 음식에 개미가 꼬이나요? “당분은 개미가 활동을 할 때
에너지
원으로 꼭 필요한 성분이에요. 그래서 단 것을 열심히 먹는 거예요. 또한 개미는 단 음식 말고도 곤충이나 동물처럼 다양한 음식을 먹어요. 알을 낳을 때 단백질 성분도 필요하거든요.” Q 문방구에서 산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대역에서만 작동하는 한계가 있었다. 송 교수는 “광학 집게 덕분에 광자를 잡고 내부에
에너지
를 가하는 방식으로 광자의 진동수를 조절 가능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밝혔다. 화학상을 받은 유도 진화 기술은 원하는 기능을 가진 촉매와 분자를 마음껏 만들 수 있는 ‘효소 공장’을 가능하게 ... ...
[과학 읽어주는 언니]총알 막고 화염에도 거뜬한 그래핀 슈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탄착점에서 10㎝ 이상 떨어진 주변부까지 순간적으로 전달된다. 단위 면적에 전달되는
에너지
의 양은 분산시키기 전과 비교해 0.1% 이하로 떨어진다. 일러스트 우아영 기자 그래핀은 열을 전달하는 능력도, 열을 차단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재미있게도, 동일한 그래핀 층 내에서는 열전도율이 ... ...
AI 음성인식 센서 "누구 목소리인지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목소리를 구별하는 고성능 음성인식 센서를 개발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음성인식 시스템 성능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 ... 같은 보안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
(Nano Energy)’ 9월호에 게재됐다 ... ...
올해 노벨상 받은 광학집게로 신개념 광다이오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원자나 살아 있는 세포 같은 매우 작은 물체를 붙잡을 수 있는 기술이다. 손 교수는 “
에너지
에 따라 진동수도 달라지기 때문에 한 광자에서 다양한 주파수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라며 “특히 이번 연구 성과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이룩한 업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우선 출력은 약하지만 펄스가 아주 긴 레이저를 만든다. 그 다음 증폭기를 이용해
에너지
를 키운다음, 다시 짧은 펄스로 압축시킨다. 그러면 펄스의 길이는 짧지만 그 힘이 훨씬 더 강해진 레이저를 얻을 수 있다. 이 기술이 등장한 이후 레이저의 강도는 다시 4~5년마다 두 배 이상씩 증가하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스트리클런드 교수가 쓴 1985년 논문에서는 펄스 폭이 2피코초 (ps·1ps 1조분의 1 초),
에너지
는 1mJ(1000분의 1J)에 불과했다. 지금은 펄스 폭은 펨토초(1000조분의 1초)나 아토초 (100경분의 1 초), 세기는 페타와트 (PW·1PW는 1000조W)에 이른다. 이런 극초단 초강력 레이저는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을 ... ...
‘레이저 정밀기기 산파’ 노벨 물리학상, 3명 공동수상… 55년만에 여성도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생물학, 의학 분야에서의 작은 입자 연구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원자 간 결합
에너지
를 측정하거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스승과 제자 관계인 무루 교수와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수십 펨토초(fs·1fs는 1000조분의 1초) 이하의 찰나의 순간에 매우 높은 출력의 ... ...
노벨상 최고령기록 100세 육박…90살에서 96살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0년전 상을 받을 기회가 있었지만 아쉽게 수상하지 못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에서
에너지
부 장관을 지낸 스티브 추 스탠퍼드대 석좌교수는 애슈킨 연구원이 만든 광학 집게를 이용해 원자를 포획하고 냉각하는 장치를 만들어 1997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당시 학계에서는 애슈킨 ... ...
이전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