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요우(yaw) 기동’이 요구되며 이런 정밀한 방향제어엔 액체 엔진이 적합하다.남북 모두 개방 사이클의 로켓엔진나로호는 1단의 로켓엔진 기술과 관련해 논란이 많았다. 러시아로부터 1단 로켓을 사왔는데 엔진 기술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설계도를 받았다고 해서 나로호 1단의 ... ...
- 친환경 벽지, 만능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난방기를 5~6시간 최대한 가동해 실내 온도 30~40℃를 유지한 후 외부와 통하는 문을 모두 활짝 열어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다.정근수 연구원은 “친환경 제품이라고 해서 모든 유해물질을 없애주는 만능은 아니지만 현재까지 연구 결과 어느 정도 줄여주는 효과는 분명히 있다”며 “벽지 뿐만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양의 온도 체계 관점에서 보든, 음의 온도 체계 관점에서 보든 0이 된다. +1/∞, -1/∞ 모두 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별개인 것 같던 양의 온도 체계와 음의 온도 체계를 하나로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가진 에너지가 클수록 안정적이란 이상한 특성은 어떨까. 이것도 온도처럼 ... ...
- 키스는 DNA를 남긴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일부는 한 시간 뒤에도 남성의 DNA가 남아 있었다. 특정 유전자를 찾는 실험에서도 모두 성공했다. 연구팀은 “비록 아주 오랜 시간 남아 있지는 않지만, 입 안에 상대의 DNA가 남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성범죄 등 범죄수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법의학 분야 ... ...
- 내 마음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다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처음에는 화로 시작되지만 자주 되풀이되면서, 관용도 인간으로서의 유대감도 모두 상실하고 마침내 잔인함으로 변해버린다.” 아침에 우유와 사과를 의지로 선택한 내가 없었듯, 쾌락으로 변해버린 악을 ‘의지로 선택한’ 나도 보이지 않는다. ‘내 행동을 내가 결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 ...
- 재즈 피아니스트가 된 수학 영재, 고희안 교수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나온 곡을 들려 드리죠.Q 작곡 노트도 보여 주세요!A 전 프렐류드의 6집에 수록된 곡을 모두 작곡했어요. 작곡도 수학적으로 하냐고요? 아뇨. 작곡은 전혀 계산하지 않고 떠오르는 악상으로 바로 만들어 내요. 이성이 아니라 감으로 하는 거죠. 제가 만든 곡은 만드는 데에 30분 이상 걸린 곡이 없어요.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 것이다.이제는 대학교에서 전산학을 배우는 학생은 모두 튜링기계라는 개념을 배운다. 현대 문명에 끼친 영향만으로 보자면 튜링은 지성사에 길이 남을 사람이 되었다. 생명현상의 수학적 질서튜링은 청년기에는 이론 컴퓨터의 개념을 만들어 내는 데 몰두했지만,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택한 것은 물이 생명에 필수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최소한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체는 모두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다. 외계인 역시 물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생명체라고 가정한 듯하다.우주에 흔한 물을 얻기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써서 여행을 하고 전쟁을 치른다는 설정은 말이 안 돼도, 우주 어디에 ...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과학동아 l2013년 02호
- 것은 관절염을 앓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또 입이 쑥 들어간 것은 이가 모두 빠졌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라샤펠오생 화석은 이가 거의 다 빠진 상태로 발견됐는데, 특히 어금니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원래 죽은 다음에 이가 빠지거나 죽기 직전에 빠지면 빠진 자리가 ...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비슷한 자료는 많은데 이론적으로 제대로 연구된 자료는 거의 없었다. 찾은 자료들을 모두 다시 해석해야 했다. 초고속 카메라 자료를 해석할 때 0.04초 차이로 실험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나오기도 했다.“모델을 한번 해체하고 조립하는 데 1시간도 넘게 걸렸다”는 김강희 학생의 말처럼 실험은 ... ...
이전5265275285295305315325335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