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힘
능력
재능
기량
수완
실력
권리
스페셜
"
역량
"(으)로 총 890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국감]원광연 이사장 “연구원 채용 때 지도교수·추천서 등 포함 바람직”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늘어나고 연구비는 4000억원 줄었다. 자체 설문조사에 따르면 연구원의 70% 이상이 연구
역량
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책을 요구했다.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연구 행정인력의 근무 연속성을 문제 삼았다. 전 의원은 신성철 KAIST 총장에게 “KAIST 교수 한 명이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④ 온라인 비대면 시대 혁신할 것인가 혁신 당할 것인가
2020.10.20
이유다. K-MOOC 메인화면 따라서 국내에서는 재정적으로 여유가 있고, 내부 인력의
역량
을 활용할 수 있는 국립대학과 연구 중심 대학들이 개별적인 온라인 학습을 개발하고, 자체적으로 적응형 학습 방법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학생 데이터 활용을 지원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 ...
[과기장관회의]국립연구기관 R&D 차별화 로드맵·성과관리 방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방향을 도출하고 성과 제표를 밝히는 분석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기관 단위의 성과 창출
역량
을 분석하고 기관 내부 추진체계의 적절성을 살필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기관 임무에 부합하는 R&D 추진 체계로 혁신하고 기관 단위 성과 관리를 효율화해 국가 R&D의 효율성은 높일 ... ...
[과기장관회의]부처별 '조각조각' R&D성과, 사업화까지 '이어달리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어려움이 크다. 기술 완성도가 낮아 당장 상용화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연구자의 사업화
역량
이 낮거나 규제가 심해 사업화가 지지부진한 문제가 있다. 이번 과기관계장관회의에서 정부는 혁신성과 선도성이 높은 R&D 성과를 주기적으로 발굴하고 실용화나 사업화를 막는 장애요인을 분석할 ... ...
[과기장관회의]2030년 AI 반도체 시장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프로젝트와 연계한 AI반도체 시장을 선도적으로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AI 반도체 설계
역량
강화를 위해 팹리스와 특허기업 공동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생산 공정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는 AI반도체 공정혁신 밸리도 조성키로 했다. AI 반도체 기업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성장자금 지원도 ... ...
2030년 AI반도체로 ‘제2의 D램 신화’ 꿈 이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지난 8월 6일 열린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정세균 국무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2030년 ‘제2의 D램 신화’ 달성을 목 ... “정부 R&D 성과가 시장에서 열매를 맺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기 위해 범부처
역량
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아! 아깝다 노벨화학상…펑장 MIT 교수·김진수 IBS 수석연구위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교수는 특정 DNA 염기에만 결합하는 RNA를 교정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하는 등 발군의 연구
역량
을 선보였다. RNA는 유전정보를 담는 DNA 이중나선 구조에 따라 생명체에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김진수 IBS 수석연구위원도 크리스퍼 Cas9 기술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는다. ... ...
[2020 국감] 과기정통부·과기원 주요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취업률이 70%였던 데 비하면 낮은 성과다. 출연연 인프라를 이용해 미취업 청년의 실무
역량
을 제고한 뒤 기업에 진출하게 하는 ‘4차 인재양성사업’ 역시 평균 취업률이 60%다. 과기정통부에서는 그 외에 연구관리전문기관의 조사 및 평가체계 구축 등이 거론된 가능성이 있다. ●KAIST 교수 중국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②위기는 이미 시작되었다
2020.10.06
SkillFuture)’ 프로그램과 같이 대학이 평생고등교육기관의 역할을 담당하는 직무
역량
강화 정책, 선진국들이 시행하고 있는 유학생들의 증가를 선순환시킬 수 있는 장기적 정책도 참고할 만하다 대학은 사라지지 않지만 동시에 혁명적인 변화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그 변화의 ... ...
[AI대학원 가이드] (중) AI교수 5인이 말했다 "AI대학원에선 이런 공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9월 포스텍을 2기 ‘인공지능(AI) 대학원’으로 선정했다. AI 대학원은 AI 핵심지식과
역량
을 갖춘 석박사급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정부 지원으로 개설되는 대학원으로 같은 해 3월 AI 대학원 1기 3곳을 선정했다. 이들 대학원에 5년간 총 90억 원을 지원한다. 향후 평가를 통해 최대 5년간 연 20억 원을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