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사람"(으)로 총 5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1.07.17
- 것이다. ▽이광호 박사=결국 벤처캐피털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거다. 회사를 만든 사람은 따로 있어도 그 기업의 성장과 방향은 벤처캐피털이 이끌어가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 많이 다른 점이다. ▽이재규 박사=미국은 기업 포텐셜(잠재력)을 보고 투자를 많이 한다. 그만큼 어느 수준 위험 부담을 ...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동아사이언스 l2011.07.13
- 곳곳에서 열리는 바이오 관련 법률이나 제도를 주제로 한 패널 토의, 콘퍼런스 등은 한국사람 입장에선 당장 불필요해 보이지만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이다.” -협회의 역할이 중요하겠다. “그렇다. 바이오산업 특성상 협회가 중요한 위치에 있다. 협회가 이런 행사에서 최신 정보를 파악하고 ...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동아사이언스 l2011.06.21
- 걸로 유명하다. 과학자 한 사람 한 사람은 연구과제에 애정을 갖고, 원장과 지원부서 사람들은 안정적인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일. 그것이 정 원장이 말하는 ‘행복한 연구현장’ 이론의 핵심이다. 정혁 원장의 ‘이것만은 꼭!’ △기초연구, 인프라 구축, 실용화 연구 분야를 나눈 다양한 ...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동아사이언스 l2011.06.08
- 것인가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 중국은 문화혁명 때 대학에 있는 사람을 다 시골로 내려 보냈지만 몇몇 학자는 그대로 뒀는데 그 중 하나가 유전학 분야다. 이 분야에서 중국이 앞서 있는 건 소수라도 명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반면 그 시기 한국은 유전학에 투자하지 않아 ...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동아사이언스 l2011.06.06
- 말했다. 윤리 문제가 있을 때 완전히 퇴출되는 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문제를 일으킨 사람이 몇 년 후 다시 연구를 할 수 있어 대다수 선의의 연구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또 “연구자 평가가 강해 기간마다 보고서를 내야하고 예산이 적으니 과제를 여러 개 하게 되고 그러다보니 ...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동아사이언스 l2011.04.25
- 바라보는 회의적인 시선도 있다.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끝나고 유전자 지도가 나왔을 때 사람들은 ‘장밋빛 희망’에 부풀었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정상으로 바꾸면 여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수년이 지난 지금도 ‘유전자 치료’는 갈 길이 멀다. 모든 유전자의 기능을 알지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동아사이언스 l2011.04.05
- 1990년대 당시 똑똑한 학생들이 이 분야에 많이 진출해 있다는 게 이유다. 바이오도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고, 머지않아 한국 BT 분야에 큰 사업 기회들이 나오지 않겠냐는 거다. ▽윤엽(녹십자)=신종플루 유행 때 백신을 만들고 세계보건기구(WHO) 국제회의에 참석했었다. 회의주제가 팬데믹(대유행) ... ...
- BT기술 경쟁력 생물자원 확보에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1.02.24
- 있는지 아직도 제대로 알지 못할 만큼 해양 생물자원은 무궁무진하다”면서 “많은 사람들이 연구하고 있지 않아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분류학자 육성에 대해서는 “새로운 생물종이 발견돼도 그게 정말 신종인지 판별하려면 분류학자들이 있어야 한다”며 “분류학자 수가 모자라 ... ...
-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동아사이언스 l2011.02.08
- 금지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식량작물은 벼, 보리, 콩, 옥수수, 밀처럼 사람이나 가축이 기본적으로 섭취하는 작물을 뜻한다. 그런데 옥수수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작물은 수확된 씨앗을 받아서 그대로 심을 수 있다. 한번 심으면 굳이 종자를 다시 사서 심을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동아사이언스 l2011.01.25
- 분야를 혈관 쪽으로 바꿨다. “한국에 와서 혈관 연구실을 만들었습니다. 같이 연구할 사람 수도 작아서 일본 학자들의 도움을 받았고요. 10년 전만해도 일본은 교수 수준, 우리는 학생 수준의 발표를 했습니다. 이제는 우리도 웬만한 것 다 연구하고 발표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권 교수는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