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애자
장해인
장해자
장애우
불구자
심신장애자
정신장애자
뉴스
"
장애인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달팽이관(와우)의 핵심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청각
장애인
이 이비인후과에서 이식받는 ‘인공와우’의 성능을 크게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허신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모사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은 인공와우의 핵심소자인 ‘생체모사 무전원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가볍다. 정흠 교수는 “국내 사이보그 기술은 95% 개발된 수준”이라며 “수년 내에
장애인
들이 사이보그 기술의 도움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칼에 찔려 하반신 마비, 수술후 다시 걸어”…혁신적 치료법은?
동아일보
l
2014.10.21
마비 야구선수 ‘척수 전기자극’으로 제발로 걸어 - “휠체어 안녕~” 하반신 마비
장애인
위한 ‘로봇다리’ 개발 - 의사도 포기한 아들, 결국 걷게 만든 ‘위대한 부정’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하반신 마비 환자가 ‘브라주카’를 뻥~
과학동아
l
2014.06.14
장애인
은 머리에 뇌파를 감지하는 전극이 달린 헬멧(EEG)을 썼다. ‘공을 걷어차라’는
장애인
의 생각은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에서 미세한 전기신호를 일으켰다. 컴퓨터가 이 신호를 해석해 로봇 다리를 움직인 것이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움직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장재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동안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오 교수는 “그래핀 인공근육을 이용해 로봇이나
장애인
용 보조기구에 쓸 수 있는 새로운 구동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면서 “5년 내에 상용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ACS 나노’ 최신호에 게재됐다. ... ...
시각장애 학생이 고구려 국경 볼 수 있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4.16
이광렬 다원물질융합연구소 소장은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
은 물론 비장애 학생들의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복사기로 인쇄물을 출력하듯 필요한 촉각자료를 즉각 만들 수 있어 수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학교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①
과학동아
l
2014.04.15
말해줬다. “꿈을 이루기 위해서죠. 저는 나중에 로봇공학자가 되고 싶어요.
장애인
이나 노인을 위해 저렴하면서도 기능이 뛰어난 로봇을 만드는 것이 제 꿈입니다.” 차민석 군(부천 정명고 3)은 “지금까지 로봇을 다섯 개 정도 만들었다”며 “앞으로 더 많은 로봇을 만들어 로봇의 ... ...
줄기세포로 청각 장애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이 때문에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이용한다면 훼손된 유모세포를 재생함으로써 청각
장애인
들이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달팽이관 속 유모세포가 파괴된 채로 갓 태어난 실험용 쥐의 귓속에 유모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줄기세포(supporting cell)를 이식했다. 그 다음 ... ...
시각
장애인
가수 스티비 원더의 재능 발달 멈추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B그룹보다 더 잘 듣고 잘 식별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유아나 아동 시각
장애인
에게만 발생한다고 알려진 뇌의 적응 현상이 성인이 된 후에도 충분히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해석했다. 즉, 시냅스의 연결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일차 청각피질의 변화가 어린이 뿐만 ... ...
32채널 가진 3차원 음향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11일 밝혔다. 최신형 영화관은 16채널까지 소리를 전송할 수 있는데, 기존의 7.1채널,
장애인
용 2채널을 포함해 실제로는 10채널만 활용하고 남은 6채널은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진은 남은 6채널에 정보를 분리해 실어 보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더군다나 이번 기술은 30개의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