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애자
장해인
장해자
장애우
불구자
심신장애자
정신장애자
뉴스
"
장애인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SW가 미래다 2] 로봇 공학도, 월가도 소프트웨어가 이끈다
2015.04.10
로봇 분야에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만큼 천재라는 뜻이다. 그는 세계 최초로 시각
장애인
이 직접 운전할 수 있는 자동차를 개발했고,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 재난로봇 ‘토르(THOR)’를 개발했다. 미국 현지에 있는 홍 교수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8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활용하면 시각
장애인
의 지팡이에 지자기(地磁氣) 센서를 달아 시각 기능을 대신하는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지자기 외에도 뇌가 초음파나 자외선 등의 자극을 인식하게 만들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 ...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3.26
사물을 직접 만지면서 생김새를 상상한다. 러시아 수학자인 알렉세이 소신스키는 시각
장애인
이 일반인보다 3차원 이상을 상상하는 일이 자유롭다고 주장했다. - (주)동아사이언스, 일러스트 겨자씨 제공 ※ 더 많은 수학기사를 2015년 4월호 수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카드뉴스] 6세 몽골 소년, 처음으로 숨을 쉬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3.01
그런데 이 말은 무언가를 놓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이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장애인
의 고통을 덜어주는 능력도 아주 뛰어나다는 걸 말이다. 3D 프린터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 있는 사람들을 만났다. - 2015년 3월호 과학동아 우아영 기자 ... ...
‘디지털 지팡이’부터 ‘바이오스탬프’까지
2015.02.27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비컨(Beacon) 기술은 시각
장애인
에게 길을 자동으로 안내하는 ‘디지털 지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피부에 진동과 온도 등 자극을 줘 가상현실에서도 실제 감각과 동일한 느낌을 재현하는 ‘가상촉감기술’을 사용하면 박물관에 가지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해결된다면 언젠간 반드시 현실이 될 것이다. 또 뇌신호를 이용한 의사소통 기술은
장애인
을 위한 의사소통 방법의 범위를 넘어 우리의 일상생활의 모습도 변모시키는 새로운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13
교통사고, 질병 등으로 팔 다리가 절단됐거나, 혹은 신경이 죽어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장애인
도 적지 않다. 로봇기술은 잃어버린 팔 다리의 기능을 완벽하게 대신할 수 있는 의족이나 의수 개발에 기여해 왔다. 최근에는 아예 사람의 신경과 연결해 움직일 수 있는 착용형 로봇 팔 다리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쓰면 앞을 볼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한국형 인공눈 기술이 ‘시각
장애인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도움말: 서종모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 callme@snu.ac.kr)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편집자 주 인간과 기계가 하나가 되는 세상. 로봇공학과 생체공학이 하나가 되는 세상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습니다. 사고로 팔 다리를 잃은 사 ... 인공와우 등 차세대 인공와우 기술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 기술이 전 세계 청각
장애인
들의 재활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
2014.12.15
값을 조절하면 근육이 이탈된 경우나 통증으로 불편한 경우를 재현할 수 있어 뇌성마비
장애인
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보행에 불편을 겪는 다양한 상황도 재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제어 알고리즘은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의 수술 후 보행 예측에 사용할 수 있다”며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