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58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3. 약물 전달 캡슐형 마이크로 로봇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캡슐 형태에
박테리아
의 움직임을 모사한 추진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5월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기술 중 하나인 3차원 레이저 리소그래피 ... ...
UNIST, 만성질환 원인 병원균 생물막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특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5
제거한 뒤 항생제 등을 활용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미첼 교수는 “
박테리아
의 생물막은 인체 내 감염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관이나 수조 등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며 “세균 전반에 사용가능한 벨로의 미생물막 분해 효과를 이용하면 친환경적으로 생물막을 ... ...
동물도 암에 걸릴까?...바다거북 Yes, 코끼리는 No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것이 확인됐다.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육상 및 수상 동물에서 상당수 발견되고,
박테리아
가 원인이 된 암에 걸리는 사람 숫자도 최근 급증하는 등 인간과 동물이 서로 암 발병에 영향을 준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학과 데이비드 듀피 교수팀은 RNA 유전자 분석을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NASA)은 2010년 생체 구성물질인 ‘인’ 대신 독극물인 ‘비소’를 기반으로 살 수 있는
박테리아
를 실험적으로 배양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NASA는 당시 “외계생명체의 증거를 탐색하는 노력에 ‘충격적 영향’을 줄 우주생물학적 발견”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 이 정도라면 먼 미래엔 ‘세포막을 ... ...
대변의 활약....한국인 장(腸)내 미생물 Top4를 알아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11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든다. 유산균인 비피더스균이 여기에 속한다. 악티노
박테리아
- Grahamcdm(W)제공 ● 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좋아하는 음식을 드세요!” _천종식(천랩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천종식 Q. 스마일바이오미 프로젝트로 무엇을 알 수 있나? 장내미생물은 ... ...
폭발한 하와이 화산서 火星 옛모습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AbSciCon 2017)에서 발표했다. 특히 킬라우에아 화산 일대에는 호열성 미생물인 시아노
박테리아
, 화학유기영양생물인 메이오테르무스와 열미균, 니트로소스파이라 같은 고세균이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내년부터는 아이슬란드에서도 대대적인 조사가 이뤄진다. 제니퍼 헬드먼 NASA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가깝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시금치에서 광합성을 하는 단백질과
박테리아
에서 광전환 기능을 가진 단백질을 추출해 세포 내 대사작용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만들었다. 이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인공 세포막 내부에 삽입해 골격근을 이루는 단백질인 ... ...
살아있는 생물에서 양자효과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8.05.22
빛 알갱이(광자)를 이용해 황
박테리아
(Chlorobium tepidum)의 광합성 능력을 측정했다. 이 황
박테리아
에는 광합성에 사용하는 7개의 분자복합체가 있다. 에너지의 흐름을 2차원으로 정밀하게 측정해 분석, 빛이 이 중 두 개의 분자를 흥분시킬 때 둘 사이에 에너지가 동시에 공유되는 순간을 포착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에 뿌리는 살생물제에 대한 말말말!
동아사이언스
l
2018.05.19
등의
박테리아
가 꼭 나쁘게 변하는 것은 아니다”며 “오염물질을 이용하는 능력을 가진
박테리아
를 배양해 생물의 자정을 돕는 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
과학동아
l
2018.04.30
있다. 작은 사진은 1902년 12월, 스콧 원정대가 남극 맥머도 빙붕에서 수집한 시아노
박테리아
의 표본. - Tayler&Francis 제공 앤 융블루트 영국 자연사박물관 박사팀은 스콧 원정대가 로스 섬과 맥머도 빙붕에서 수집한 표본에 남아있는 남세균 덩어리들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분광 분석법으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