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
과학동아
l
2018.07.19
에너지를 생산하는 인공세포 - Nature biotechnology 연구팀은 시금치의 광합성 단백질과,
박테리아
의 광전환 단백질을 추출해 생체에너지(ATP)를 생산할 수 있는 인공 미토콘드리아를 제작했다. 이후 이 미트콘드리아를 인공세포막에 삽입해 인공세포를 완성했다. 개발된 인공세포는 골격 단백질을 스스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이 가운데 40%는 클라미디아 감염 말기로 치료될 가망성이 없다. 세포 안으로 침투하는
박테리아
인 클라미디아는 각결막염이나 요도나 생식기 염증을 일으킨다. 코알라의 경우 감염됐을 때 염증유발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해 자신의 조직까지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람의 에이즈 같은 ... ...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07.17
‘황금 원형그물 거미(Nephila clavipes)’를 이용해 거미줄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
를 만든 뒤, 이것으로 단백질을 만들면서 베타시트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했다.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 - 사진 pixabay 제공 그 결과, 말단 부분이 불규칙적인 코일 형태와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싱그럽고 비린 여름냄새...정체가 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또 다른 여름 향은 흙 냄새다. 바로 ‘지오스민(geosmin)’의 냄새다. 흙에 사는
박테리아
가 물질대사를 할 때 내뿜는 화학물질이다. 특히 여름엔 비가 자주 내리는데, 물방울이 토양에 떨어질 때 생기는 에어로졸에 의해 지오스민이 더 잘 방출된다. 물방울이 토양에 떨어질 때 생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것 같다”고 쓰고 있다. 깃편모충류의 한 종인 살핀고에카(Salpingoeca rosetta)가 먹이인
박테리아
가 있는 환경에서 세포분열을 하며 군체를 이루는 과정을 찍은 사진이다. 오른쪽 아래 숫자는 경과 시간과 분을 뜻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깃편모충류와 동물의 공동조상은 이미 다세포성에 관여하는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3. 약물 전달 캡슐형 마이크로 로봇 최홍수 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캡슐 형태에
박테리아
의 움직임을 모사한 추진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 로봇을 개발해 5월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기술 중 하나인 3차원 레이저 리소그래피 ... ...
UNIST, 만성질환 원인 병원균 생물막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특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7.05
제거한 뒤 항생제 등을 활용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미첼 교수는 “
박테리아
의 생물막은 인체 내 감염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관이나 수조 등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며 “세균 전반에 사용가능한 벨로의 미생물막 분해 효과를 이용하면 친환경적으로 생물막을 ... ...
동물도 암에 걸릴까?...바다거북 Yes, 코끼리는 No
동아사이언스
l
2018.07.03
것이 확인됐다.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육상 및 수상 동물에서 상당수 발견되고,
박테리아
가 원인이 된 암에 걸리는 사람 숫자도 최근 급증하는 등 인간과 동물이 서로 암 발병에 영향을 준다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미국 플로리다대 동물학과 데이비드 듀피 교수팀은 RNA 유전자 분석을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금속 생명체 탄생 가능할까… 트랜스포머
동아사이언스
l
2018.06.29
NASA)은 2010년 생체 구성물질인 ‘인’ 대신 독극물인 ‘비소’를 기반으로 살 수 있는
박테리아
를 실험적으로 배양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NASA는 당시 “외계생명체의 증거를 탐색하는 노력에 ‘충격적 영향’을 줄 우주생물학적 발견”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 이 정도라면 먼 미래엔 ‘세포막을 ... ...
대변의 활약....한국인 장(腸)내 미생물 Top4를 알아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11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줄어든다. 유산균인 비피더스균이 여기에 속한다. 악티노
박테리아
- Grahamcdm(W)제공 ● 인터뷰 “장내미생물이 좋아하는 음식을 드세요!” _천종식(천랩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천종식 Q. 스마일바이오미 프로젝트로 무엇을 알 수 있나? 장내미생물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