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강도와 방식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최 ... 경제적 영향이나 사망자 수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 원’ 2020년 12월 22일 자에 실렸습니다.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그 결과 저장된 이미지를 오차율 0.11% 이내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해 2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467-020-14455-1분자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은 단지 한정된 공간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늘린 것 이상의 가치를 갖는다. 연구팀은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차단했더니 녹조를 일으키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영국왕립학회보 B’에 발표했다. 수상태양광을 설치하면 녹조가 줄어든다고 알려졌는데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doi: 10.1098/rspb.2018.1067연구 결과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난 이유는 수중생태계 교란 ... ...
[수학뉴스] 승마 경주에서 우승하는 필승 전략은?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논문에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
지 ‘플로스원’ 2020년 12월 2일자에 실렸습니다. ...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손해보다 얼마나 세게 조정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실제로 2020년 8월 4일 스위스 심리학
학술
지 ‘프론티어즈 인 사이콜로지’에 일본인들이 마스크를 쓰는 가장 큰 이유가 ‘주변 눈치’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실렸습니다. 나카야치 가즈야 일본 도시샤대학교 사회심리학과 교수팀이 마스크를 ... ...
[수학뉴스] 어려운 의견 모으기, 수학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의사결정에도 적용할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정보과학’ 2021년 2월 8일자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 ...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존 몰트 교수는 아미노산 서열만으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
대회(CASP)’를 열었어요. 구조 예측을 좀 더 잘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였죠. 이 대회에는 실험실에서 이미 구조가 밝혀졌지만, 아직 그 결과가 공개되지 않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100여 개가 문제로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나인이 존재한다면 이와 같은 공전궤도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천문학 저널’ 지난해 12월 10일자에 실렸다. doi: 10.3847/1538-3881/abc01 ... ...
[과학뉴스] 청설모도 이웃과 사이좋게 지낼수록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청설모도 같은 이웃과 오랫동안 공존할 경우 생존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지난해 12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94년부터 2015년까지 22년간 캐나다 유콘주 남서부에 서식하는 청설모 1009마리를 연구했다. 청설모에 식별표를 달고 주기적으로 청설모 ... ...
[과학뉴스] ‘형형색색’ 탄소나노튜브 466종 색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핀란드 알토대 응용물리학과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 466종의 색 지도를 완성해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지난해 12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의 분자구조를 좌우하는 지름과 대칭성, 두 가지 기준으로 탄소나노튜브를 분류했다. 탄소나노튜브 466종의 지름과 대칭성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