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매운맛’으로 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캡사이신으로 페로브스카이트의 효율을 한 차원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줄’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joule.2020.12.009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MAPbl3) 전구체에 0.1wt%(중량퍼센트)의 캡사이신을 추가한 뒤, 자외선 광전자 분광법 등으로 캡사이신이 페로브스카이트에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대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운동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정신건강의 연관관계를 조사해 국제
학술
지 ‘환경연구와 공공보건’ 지난해 5월 25일자에 발표했다. doi: 10.3390/ijerph17103722 연구결과, 매일 약한 강도로 108분 운동하거나, 중간 강도로 80분 운동하거나, 강한 강도로 45분간 운동했을 때 코로나19로 ... ...
4만 5500년 전에도 인류는 그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벽화(왼쪽 아래 사진)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4만 5500년 전 작품이라는 사실을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d4648연구팀은 석회동굴인 리앙 테동게 동굴과 인근에 위치한 리앙 발랑가지아1 동굴에서 각각 새로 발견된 벽화의 연대를 측정했다. 리앙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않거나 불확실한 문제에는 사람이 더 강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팀은 2019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전두엽 메타제어’ 이론을 제안했다. 사람의 중뇌 도파민·복외측전전두피질 네트워크에서는 주어진 환경에 대한 보상 또는 현재 상태를 예측하는 정보를 처리한다. 두뇌는 이 ... ...
위기의 해양동물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냄새와 비슷해 바다거북이 먹이로 착각하고 섭취한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해 3월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doi: 10.1016/j.cub.2020.01.071바닷새나 물고기는 화학물질을 방출한다. 이들이 섭취한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그런데 바다에 녹은 플라스틱에도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찾은 합리적인 거리두기 방법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강도와 방식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최 ... 경제적 영향이나 사망자 수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 원’ 2020년 12월 22일 자에 실렸습니다.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이후엔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이 바로 혁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수학의 진보’에 게재 승인을 받았습니다. _ 인터뷰데이비드 콘론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 혁신적인 방법으로 램지 수의 범위를 좁힌 콘론 교수님이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연구에 얽힌 ... ...
[과학뉴스] 광합성 안하는 세균도 일주기 리듬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고초균(Bacillus subtilis)도 24시간을 주기로 유전자의 발현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초균의 청색광 흡수와 관련된 ytvA 유전자와 포자 형성과 관련된 kinC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했다. 청색광 흡수와 포자 형성은 일주기 리듬과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그 결과 저장된 이미지를 오차율 0.11% 이내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지난해 2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467-020-14455-1분자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은 단지 한정된 공간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늘린 것 이상의 가치를 갖는다. 연구팀은 ... ...
재생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차단했더니 녹조를 일으키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영국왕립학회보 B’에 발표했다. 수상태양광을 설치하면 녹조가 줄어든다고 알려졌는데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doi: 10.1098/rspb.2018.1067연구 결과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난 이유는 수중생태계 교란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