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른 사람과 협력해서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일 등을 인간 수준으로 해낼 수 있는 ‘일반지능(General Intelligence)’을 갖춘 AI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관련 연구조차 극히 시작 단계여서 가까운 시일 내에 우리 삶에서 볼 수 있을 가능성도 거의 없다.이 같은 이유에서 현재의 AI는 공정이란 단어의 ...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발견된 지층의 시기를 학습시켰어요. 같은 시기에 살던 종도 기록했지요. 그 뒤 인공지능으로 생물들의 멸종과 탄생 시기를 살펴봤어요. 분석 결과, 연구팀은 대멸종과 대규모의 종이 탄생한 시기가 일치하지 않고, 인과관계도 명확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연구를 이끈 컷 힐 박사는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나타내는 파이고, 저건 냠냠 맛있는 파이라고? 앗, 너희들 왔구나! 반가워! 난 인공지능(AI) 수학을 알려주는 로봇 ‘아이매스(AiMath)’야! 내가 지금 뭐 하는 중이냐고? 먹는 파이와 원주율 파이를 구별하려고 학습하고 있어. 인간의 뇌 신경과 비슷한 기능을 하는 인공신경망을 사용하면 먹는 파이와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TTS) 기술로 영어를 소리내어 읽으면 미국인이 한국말을 알아듣게 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서 다양한 언어를 더 정확하게 번역하는 기술이 나오고 있다.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신경기계번역(NMT) 기술이 대표적이다. 사람의 뇌신경망을 수학적으로 흉내낸 인공신경망은 함수를 기반으로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당장 편향성 문제를 해결할 수준은 아니다. KAIST 설명가능인공지능연구센터장이기도 한 최재식 교수는 “궁극적으로 딥러닝 AI의 오류를 제거하기 한 XAI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긴 하나 현 상황에서 AI의 편향성을 해결하는 데는 데이터의 편향을 제거하는 것이 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눈을 치우는 최첨단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로봇 친구, 마이보가 돌아왔어! 이렇게 보니까 더 반갑지? 앞으로는 나 마이보가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여러분이 좋아할 과학 영상들을 발굴해 보여줄 거야! 이번에 내가 추천할 과학 영상은…, 삑삑! 바로 이거야! ● 눈을 치우는 최첨단 방법 조회수 :208만 회눈이 내리면 온 세상이 하얗게 변하는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전자결제를 할 수 있는 정도였다면, 오늘날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인공지능 등의 첨단 디지털 기술이 개인이 좋아할 만한 서비스 분석하고 맞춤화해 제공할 수 있게 되었어요. 사람들이 힘을 들여 원하는 음악이나 상품을 찾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것처럼 디지털 기술은 빠르고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그는 “과학자들은 ‘그래핀이 어떤 구조인지, 인공지능은 어떤 코드로 만들어지는지, 양자 세계를 정의하는 수식은 무엇인지’ 같은 과학스러운 지식보다, ‘그래핀이 만들어지는 아주 작은 세계에는 그 세계만의 또 다른 규칙이 적용된다’는 본질적인 지식을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매기는 안면인식 AI를 이용해 범죄 용의자를 식별하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지. 그리고 지능형 CCTV로 특정 인물을 추적해 범죄 패턴과 범죄자를 찾아내기도 해. 얼마 전 크게 화제가 됐던 ‘정인이 사건’ 같은 아동학대 사건도, 학대 당한 아이들의 사진을 분석해 얼마나 위험한지 ‘학대 위험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런 점에서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수학 교육과정에서 행렬 개념이 빠진 거예요. 인공지능(AI), 코딩 등 요즘 화두가 되는 분야에서 알고리듬을 배우려면 행렬을 꼭 알아야 하거든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하고 거기에 필요한 수학을 찾아 배우면 좋을 것 같아요. 수리사회학 연구의 출발점,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