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d라이브러리
"
전극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있다.형광등은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했다가 방출할 때 발생하는 빛을 이용한다. 한쪽
전극
의 필라멘트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안에 채워져 있는 수은증기와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얻었다가 잃으면서 빛을 낸다. 이때의 빛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자외선. 형광등 내부 표면에 도포된 형광물질은 이 ... ...
뉴로맨서(Newromancer)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손상을 입은 채 쫓겨나고 만다. 사이버스페이스로 접속하려면 신경계를 통해 뇌에
전극
을 연결해야 하는데, 이제 그것이 불가능해진 것이다.일본에서 약물에 취해 자포자기한 나날을 살아가던 그에게 어느날 아미티지라는 정체불명의 의뢰인이 나타난다. 그는 신경을 회복시켜 줄테니 대신 예전의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전극
이 +극이면 열전자는
전극
으로 끌려와 진공을 이동해 전류가 된다. 그러나
전극
이 -극이면 전자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것이 정류작용이다. 3극 진공관에서는 2극 진공관의 +극과 -극 사이에 그리드를 둔다. 그리드에 가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극에 도착하는 전자의 양을 조정해 증폭효과를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표백하는 과정, 석탄이나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 각종 금속을 제련하는 과정, 탄소
전극
을 생산하는 과정 등 다양한 발생원이 존재한다. 화학물질을 합성하는 공장은 두말할 나위 없다.최근에는 쓰레기(특히 산업폐기물)를 태울 때 다이옥신이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국내외적으로 ... ...
거품 폭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위력에 놀라지 마세요.■왜 그럴까?전해질의 수용액에 직류 전류가 흐르면 전해질은 두
전극
에서 화학변화를 일으킨다. 음이온은 (+)극으로 양이온은 (-)극으로 끌려가서 화학변화가 일어나는데, 이처럼 전기를 이용해 물질을 분해하는 것을 전기분해라고 한다. 순수한 물에는 전기를 운반해 줄 ... ...
소금물 위에 글씨 쓰기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역할을 하는 것이 소금물이고, 탄소알갱이는 건전지에 들어있는 탄소봉과 같다. 즉
전극
이 전해질 속에서 잘 반응해 전류를 잘 통하게 만들어 준다는 얘기다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사진기는 보통 사진기와 달리 렌즈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피사체에 필름과
전극
을 통해 고주파 고전압을 가하면 피사체 주변에 섬광이 방출된다. 섬광은 피사체가 필름과 접촉된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이라 한다. 섬광이 필름에 감광되어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측정장비도 들어있었다. 가이거계수기는 하전입자가 들어오면 고전압이 걸린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해 우주선(cosmic ray)의 수를 셀 수 있었다. 그런데 익스플로러 1호에 실린 가이거계수기는 지금까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하전입자들이 지구 주위에 있다는 것을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D램에서는 P형의 반도체 층과 N형의 반도체 층을 박막의 형태로 만들고, 각 층의
전극
도 박막 형태로 만든다. 이렇게 만든 박막트랜지스터는 얇은 막으로 돼 있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는 견디지 못한다. 그러나 D램의 경우에는 큰 문제가 아니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전원, 즉 박막트랜지스터에 ... ...
Ⅳ. 미래의 문을 여는 바이오 칩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만들어야 했다.1967년 업디크와 히크는 포도당 산화효소를 막 속에 고정시키고, 이를 산소
전극
과 결합시켜 포도당 센서를 만들었다. 그 후로 생체분자박막을 제작하는 기술은 바이오센서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됐다.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포도당 측정용 바이오센서는 혈액을 채취하여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