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눈동자와 머리카락, 피부 등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과 뇌에서 흥분을 전달하는
신경
활성물질인 도파민 등이 카테콜 작용기를 갖고 있다.이 중 멜라닌은 카테콜 작용기를 갖는 전구체 물질이 단일 분자로 존재하다가 어느 순간 서로 결합하면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홍 교수팀은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통증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통증 정도에 따라 환자의
신경
세포에서 나타나는 신호를 측정했다. 그 결과 낮에 약하고 한밤중에 세지는 통증의 숨겨진 리듬을 찾아냈다. 이를 이용해 수학 모형을 만들어 통증의 강도와 빈도를 예측했다. 통증을 미리 예측하면 대처하는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전송한답니다. 그러면 이 신호가 달팽이관까지 이어진 전극을 따라 달팽이관 속 청각
신경
으로 전달돼 마침내 소리를 들을 수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여 몸속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와우를 개발 중이랍니다. 무선 이어폰을 둘러싼 건강 논란지난 3월, 한 뉴스 기사가 SNS를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
망 지도 각각 완성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신경
계는 인간의
신경
계와 동일한 분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인간의
신경
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doi: 10.1038/s41586-019-1352-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기왕이면 예쁘고 재밌는 사진이나 영상을 보낼 수 있도록 사진을 꾸미는 ‘필터’에도
신경
을 썼습니다. 머리띠와 강아지 귀 같은 장식을 얹는 필터를 비롯해 수많은 필터가 있죠. 그 중에서도 아기 필터가 국내에서 화제가 됩니다. 아기 필터는 얼굴 찾는 기술 활용의 좋은 예얼굴을 순식간에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킬리만자로’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높다. 하지만 높을수록 안전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2016년 미국에서는 10세 소년이 51.2m 높이의 워터슬라이드 ‘페어뤽트’를 타다가 트랙을 둘러싼 안전망과 충돌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이후 페어뤽트는 영구 폐쇄된 상태다. 3. 오스트리아┃풍선의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
신경
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치료하는 열쇠가 SKG3 유전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SKG3의 작용을 억제해 뇌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 10.1080/15548627.2019.163022 ... ...
고교급식왕, 급식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식중독으로부터 안전하다.특히 튀김은 바삭한 식감을 유지해야 하는 만큼 온도에 각별히
신경
을 써야 한다. 신 영양사는 “오븐 요리나 튀김을 할 때는 학생들이 오는 시간을 예상해 두세 차례 나눠서 요리 한다”며 “오븐에 달린 간이 온도계 외에 별도의 탐침 온도계로 온도를 확인한다”고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고양이와 강아지 사진이 많이 입력돼 학습을 열심히 한
신경
망 프로그램은 나중에 어떤 사진을 보더라도 사진 속 동물이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잘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데이터는 석유와 비슷 현재 딥러닝을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즐길 때 수학 아이디어가 더 잘 떠오르는 건 어쩌면 너무나 당연할 지도 몰라요. 2001년
신경
학자인 마커스 라이클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취미 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더 활발해지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뇌의 바깥쪽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