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신경
꿰뚫어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최원식 IBS 부연구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현미경이 뇌
신경
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정밀측정과 관찰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doi: 10.1038/s41467-019-11040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역할을 하는 셈이지요. 반면, 밤엔 빛의 양이 줄어들어 ‘멜라토닌을 만들지 말라’는
신경
신호가 약해져요. 그러면 솔방울샘은 방해하는 신호가 없으니 계속해서 멜라토닌을 만들어내지요. 이런 원리로 멜라토닌은 우리가 잠을 자는 시간인 자정부터 아침 8시 사이에 가장 많답니다. 그리고 해가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각막 손상, 근골격계 문제가 주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NTRK1 유전자는 땀샘에 연결된
신경
에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CIPA 환자는 땀을 흘리지 않는 무한증을 동반한다. 박 교수는 “땀을 흘리지 못하기 때문에 체온을 제대로 조절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라고 했다. 의학계에는 CIPA 환자의 약 20 ...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했어요.조영준 누구보다 잘하려고 국가대표가 되려던 게 아니었기 때문에 경쟁에
신경
쓰지는 않았어요.김홍녕 다른 사람을 이겨야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어요. 그보다는 최선을 다해서 제 실력을 보이는 것에 집중했어요. 저는 선발에 떨어졌던 적도 있는데, 그럴 때도 경쟁심이나 분한 마음보다는 ... ...
[과학뉴스] 피부 속 통증 느끼는 새 감각기관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발견한 감각기관은 여러 개의 긴 돌출부를 가진
신경
교세포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
신경
교세포가 얽히고설켜 피부에서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기관은 특히 눌림과 찔림에 의한 물리적인 손상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에서 이 기관의 활성을 막았을 때 기계적 손상에 의한 ... ...
‘몸짱’ 되려다 근육통 얻는다 보충제와 근이완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작용하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크게 말초
신경
에 작용하는 ‘말초성 근이완제’, 중추
신경
에 작용하는 ‘중추성 근이완제’, 그리고 근육에 직접 작용하는 ‘근소포체 억제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말초성 근이완제는 수술 시 마취 등에 쓰이며, 나머지 근이완제는 근육의 경련이나 경직 등의 증상에 ... ...
기회는 지금이야 당장 달려볼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약속했다. 그들의 건강한 변화를 응원한다. To be continued. *용어정리 시냅스 가소성
신경
세포를 잇는 시냅스가 뇌의 경험과 학습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 ... ...
프로젝트 밴드 닥터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포스(force)’와 동일한 단어라는 점에 착안해 스타워즈의 SF적 분위기를 살리는 데도
신경
썼다. 특히 방송에서는 스타워즈 주제곡의 도입부를 곡의 간주에 삽입해 SF 느낌을 살렸다. 또 멤버들이 1970~1980년대 SF영화 마니아처럼 옷을 입어 SF 분위기를 극대화했다. 과학을 소재로 곡을 만드는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나는 논문을 수정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역시 쉽지 않았다. 수험생인 내게 입시에 더
신경
을 쓰라며 논문 수정을 말리는 사람들이 많았다. 결국 결정은 내 몫이었다. 나는 논문 수정에 매달렸다. ‘연구자들은 모두 나와 같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2019.7.16 한국천문학회지 게재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눈동자와 머리카락, 피부 등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과 뇌에서 흥분을 전달하는
신경
활성물질인 도파민 등이 카테콜 작용기를 갖고 있다.이 중 멜라닌은 카테콜 작용기를 갖는 전구체 물질이 단일 분자로 존재하다가 어느 순간 서로 결합하면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홍 교수팀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