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704건 검색되었습니다.
天地 밑 10km 지점 마그마 가득… 수년 째 ‘수상한 움직임’
2015.04.02
한중 공동탐사를 결정했다. 류자치(劉嘉麒) 중국과학원 원사(院士)는 “땅속에 대한
정확
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당장 수년 내 백두산이 폭발하리라고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면서도 “마그마가 흐르는 지하의 지각구조를 제대로 이해해야 화산활동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하 ... ...
“대기 중 오존농도, 지금까지 2% 낮게 측정됐다”
2015.03.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진이 오존 표준기준기기의 성능향상과 교정시험을 위해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민 건강 ... “2% 정도의 측정 오류로 건강에 큰 우려가 있을 걸로 보이진 않지만, 앞으로 한층 더
정확
한 예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
유방재건술 1일부터 건보 적용… 뇌종양-간질 뇌기능 검사도 혜택
동아일보
l
2015.03.30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간질과 뇌종양 환자의
정확
한 뇌기능을 측정해 수술
정확
도를 높이는 데 쓰이는 ‘뇌자기파 지도화 검사’와 ‘유발 뇌자기파 기능적 지도화 검사’도 다음 달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또 희귀난치 질환도 질환 특성에 따라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이 필요할 ... ...
“‘스마트’ 다음은 ‘팔라스’입니다”
2015.03.27
만큼 국내 조선 기술은 예술의 경지”라면서 “원전도 한 치의 오차 없이 각 모듈을
정확
하게 조립하는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미 원자력협정 타결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파이로프로세싱(건식 재처리)에 대한 관심도 높다. 김 원장은 “미국은 아이다호국립연구소에서 사용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육상에서, 그것도 프로펠러도 달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정확
한 측정을 할 수 있을까. “발전기를 이용하면 가능하죠.” LBTS의 총책임자인 임근희 한국전기연구원 박사의 답은 명료했다. 실제로 전동기 왼편 프로펠러가 있어야할 자리엔 발전기가 연결돼 있었다. 실제 ... ...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5.03.26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직접 만질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실험 때보다
정확
하게 3차원 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시각장애인은 고차원적 상상력이 더 뛰어나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수학적방법학연구실 알렉세이 소신스키 선임연구원은 그가 쓴 책 에서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빠르게 올린다는 등입니다. 우리가 주로 먹는 수입 밀가루가 농약 투성이인지는 제가
정확
히 알기 어렵습니다. 다만 수입 밀가루를 대상으로 잔류 농약 검사를 하고 있을 텐데, 왜 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없을까요? 당지수 이야기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밀가루로 ... ...
한 달 만에 2290km 이동하는 바다거북의 비밀
2015.03.16
최소1105km에서 최대 2290km에 달했다. 바다거북의 항해에서 더욱 주목할 점은 이들이
정확
한 경로를 찾아 빠르게 이동한다는 점이다. 연구를 진행한 카라 더지 박사는 “바다를 헤엄치던 바다거북은 알을 낳기 위해 특정 해변을 다시 찾는다”며 “몇 년이 지나도 해변의 위치를 잊지 않는다”며 ... ...
장 속 가스 보면 질병 안다
2015.03.13
걸림돌도 있다. 김 연구원은 “질병에 따라 어떤 가스가 어느 정도로 증가하는지 더욱
정확
한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가스 센서는 계속 데이터를 초기화시켜줘야 다시 가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장 안에 들어있는 센서를 리셋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도 해결해야 할 ... ...
반도체 칩에 인간 심장세포 넣은 바이오칩 개발
2015.03.10
물론이고 동물학대 논란에서도 자유롭지 못했다. 연구진은 신약의 효과와 독성 여부를
정확
하게 검증하기 위해 인간의 심장세포로 바이오칩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심장근육세포로 분화시킨 뒤 약 2.4cm 길이의 회로에 집어넣어 초미니 심장조직을 만든 것이다.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