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등의 대체 실험법이
개
발되고 있어요. 경제협력
개
발기구(OECD)에서는 이러한 여러 방법을
개
발해 전세계 과학자들에게 동물실험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답니다.*표피 : 동물이나 식물의 표면을 덮는 세포층.*각막 : 눈 앞쪽에 있는 투명하고 혈관이 없는 조직.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쇼킹 사이언스] 얼음 호수 속에서 기체가 방울방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올라오던 기체가 얼음 속에 갇히면서 장관이 펼쳐진답니다.메탄은 탄소 하나, 수소 네
개
가 하나의 분자를 이루고 있는 기체로, 상온에선 아무 색깔도 없고 냄새도 나지 않아요. 주로 늪이나 습지의 바닥에 있는 풀이나 나무 등 *유기물이 썩으면서 만들어지죠. 아브라함 호수도 마찬가지예요. 댐이 ... ...
[과학뉴스] 달은 두 행성의 ‘정면 박치기’ 결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이를 지구와 테이아가 정면충돌한 근거라고 주장했다. 영 교수는 “테이아에서 쪼
개
진 암석이 지구와 달 모두에 들어가 균등하게 퍼진 결과”라고 설명했다.이는 지구와 테이아가 비스듬하게 충돌했다고 밝힌 과거 다른 연구들을 뒤집는 결과다. 예컨대 2014년 독일 연구진은 지구와 달 암석의 산소 ...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환경변화 등 여러 요인이 바이러스 대유행을 일으키는 데 기여합니다. 모기 같은 매
개
체가 널리 퍼지도록 하고요. 여러 요인들이 동시에 작용해 지카가 대유행하는 데 영향을 줬을 겁니다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같다.(웃음)준 과학동아 2015년 11월호에 예술가의 화풍을 따라하는 딥러닝 프로그램을 소
개
한 적이 있다. 고흐의 그림을 기가 막히게 따라 그리길래, 기자의 사진을 모딜리아니 스타일로 그려달라고 부탁했었다. 그런데 결과는 형편없었다.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딥러닝이 만사형통은 ... ...
Part1. 난수, 넌 누구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난수를 만들 수 있었다. 1939년에는 영국 통계학자 모리스 캔달과 바빙튼 스미스가 10만
개
의 수로 이뤄진 난수표를 만들었다. 티펫이 만들었던 난수표보다 두 배 많은 수로 이뤄진 표였다.난수표는 암호를 푸는 중요한 열쇠로 항상 가지고 다녀야 했다. 만약 잃어버린다면 정보가 노출될 위험에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만든 ‘스왁’이라는 초창기 디지털 컴퓨터를 이용해 1952년에만 무려 5
개
의 메르센 소수를 찾아냈다.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기 전까지 가장 큰 소수는 에두아르 뤼카가 발견한 이보다 4배 이상 자릿수가 크다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고꾸라친 비행기도 있었고, 밀듯이 세게 던지자 멀리까지 활공한 비행기도 있었어요.20
개
의 비행기 중 가장 멀리 날아간 건 김강현 학생의 종이비행기였어요. 무려 18.2m까지 날아가 친구들의 큰 박수를 받았지요. 어때요? 내가 만든 비행기가 더 멀리 날아갈 것 같다고요? 여러분도 세상에서 가장 멀리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가장 빨랐던 동물은 북극곰으로, 20분 만에 성공했다. 가장 많은
개
체가 성공한 종은
개
체의 70%가 성공한 곰이었다.전반적으로 몸집이 큰 동물보다 작은 동물이 상자를 잘 열었지만 너구리과 동물인 라쿤과 미어캣은 상자를 열지 못했다. 하이에나 종도 15%밖에 성공하지 못했다. 벤슨-앰럼 교수는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발표가 임박했을 즈음 여러 정보가 계속 새어나갔다. 심지어 구체적인 측정값까지 공
개
가 됐다. 실수로 e메일이 유출됐다는 이야기도 들었다.이런 정보유출은 거대과학실험을 운영하는 조직에겐 달가운 일이 아니다. 실제 잘못된 루머로 과학적 사실이 왜곡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장 유명한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