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090건 검색되었습니다.
[돈테크무비 34회] 세계
최대
모빌리티 기업들의 명과 암
2017.07.08
소프트뱅크가 이끄는 컨소시움으로부터 무려 55억달러라는 단일 라운드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확정 지으며 다시 한번 세상을 놀라게 하기도 했다. 주요 시장은 다르지만 기업가치를 기준으로 경쟁을 하고 있는 우버와 디디추싱 간접적으로 경쟁 상대인 우버가 심각한 내홍을 겪고 ... ...
[사이언스 지식in] 북한이 쏜 미사일 ‘화성 14형’, ICBM급 맞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7.05
날아갔는데요. 국방부는 각도를 조절해 북한 원산 지역에서 발사한다면, 최소 6000㎞에서
최대
1만㎞를 날아가 알래스카(5800㎞)와 하와이(7500㎞)는 물론 로스앤젤레스와 같은 미국 서부 지역까지 타격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원하는 목표 지점에 도달했다는 북한의 주장과는 달리 ... ...
네안데르탈인과 크로마뇽인 분기, 기존 예측보다 30만 년 늦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5
“돌연변이 축적의 결과로 네안데르탈인의 고유한 미토콘드리아 DNA가 생긴 시기가
최대
47만 년 전으로 기존의 네안데르탈인의 등장시기보다 30만 년 정도 늦은 것”이라고 말했다. 현생 인류 크로마뇽인과 네안데르탈인은 핵DNA 분석을 통해 약 76만5000년 전에서 55만 년 전에 분리됐다고 ... ...
지구온난화 속 아델리펭귄과 황제펭귄 중 누가 살아남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9
볼 때, 남극 전 지역의 빙하가 녹아 평균 높이가 약 1m 낮아지고, 그로 인해 약 2100㎢부터
최대
1만7267㎢의 면적의 빙하가 사라질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 가장 큰 생물 서식지인 북쪽 남극 반도(North Antarctic Peninsula) 지역은 빙하가 없는 땅이 지금보다 3배 이상 커지리라 내다봤다. 리 교수는 “빙하가 ... ...
뇌과학과 피아노의 만남? 색다른 과학강연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
l
2017.06.28
이번주 토요일(7월 1일) 정오(오후 12시)부터 신청할 수 있으며 선착순 마감한다. 1명이
최대
4명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자 가운데 과학동아 정기구독자가 반드시 한 명 포함돼 있어야 등록이 가능하다(정기구독번호 입력 필수). 과학동아 정기구독자 외의 일반 신청은 7월 5일 오전 10시부터 할 수 ... ...
폭우가 빚은 참사 ‘쓰촨성 산사태’...본격 장마철 맞는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6
이번 참극의 간접 원인의 하나로 분석했다. 최근 난징에서는 강수량 230㎜로 112년만의
최대
강우를 기록하는 등 쓰촨성을 포함한 중남부 지역에 폭우가 계속될 전망이라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 본격 장마철...
최대
산사태 위험지역은 ‘강원 홍천’ 장마철을 맞은 한국도 산사태 ... ...
쥐덫의 원리로 슝~! ‘마우스 트랩 카’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26
미끄러지지 않을 만큼 마찰력을 조절해야 한답니다. ➊ 고무줄을 감아 탄성력을
최대
로 만든다. ➋ 막대기가 앞으로 튕겨나가면서 차가 움직인다. - 정한길 기자 제공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직접 설계한 마우스 트랩 카로 경주까지! 기자단 친구들은 직접 구상한 설계도로 마우스 트랩 카를 ... ...
지식 해적 ‘사이허브’, 대형 출판사 엘스비어에 패소
동아사이언스
l
2017.06.25
홈페이지 제공 세계
최대
과학출판사 ‘엘스비어’가 논문 해킹 사이트 ‘사이허브(Sci-hub)’를 상대로 한 저작권 소송에서 승소했다. 뉴욕지방법원은 22일(현지시간) 수천만 권의 연구 논문 및 도서에 무료로 접근할 수 있게 한 웹사이트 사이허브가 저작권을 침해했다며 1500만 달러(약 170억7750만 ... ...
박혁거세가 태어난 알은 완벽한 원형이었을지도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25
방향으로 신체 조건을 갖춰가며 수반된 진화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알의
최대
폭은 증가시키지 않으며 부피는 키워 큰 날개를 담기 위해서란 의미다. 요셉 토바이스 임페리얼컬리지런던대(ICL) 교수는 “알의 크기와 모양은 무작위하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종의 능률적 비행을 위한 최적의 ... ...
세계 각국의 연구쇄빙선 경쟁,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3
쇄빙선 건조 예정 중국도 2019년 취항을 목표로 지난해 12월부터 중국 상하이에서
최대
90명이 승선할 수 있는 1만3990t급 연구용 쇄빙선을 건조하고 있다. 중국이 자체적으로 쇄빙선을 만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5m 두께의 얼음까지 깰 수 있으며 배의 앞부분뿐만 아니라 뒷부분도 얼음을 깨고 ... ...
이전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