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090건 검색되었습니다.
英 엄격한 법 규제에도 인간배아 연구 활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9
워녹보고서는 배아를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을 배아가 홀로 생존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인 14일로 봤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규제국들은 워녹보고서의 14일 규정을 채택하고 있다. 현재 영국의 과기계에서는 14일을 28일로 확대하기 위한 대국민 공론화 움직임도 이뤄지고 있다. 같은 ... ...
메뉴는 고래, 북극곰들의 식사 장면
팝뉴스
l
2017.08.07
제공 메뉴는 고래 고기다.
최대
스무 마리에 달하는 북극곰들이 몰려들어 성대한 식사를 즐긴다. 주변에 사람이 있건 말건 신경을 쓰지 않는다. 곰들은 먹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북극곰들이 고래 고기를 먹는 장면은 알래스카 북쪽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촬영자는 지난 24일 이 사진을 미국의 ... ...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 때문에 우는 스타트업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8.04
고객이 될 수 없다. 클라우드 발전법이 시행된 이후 공공부문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최대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데, 이 회사는 그저 바라만 볼 수밖에 없다. 바로 ‘클라우드 보안 인증제’ 때문이다. A사는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인프라 위에 소프트웨어를 올려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 ...
'가족력 질환' 막는다...인간 배아 돌연변이 교정
동아사이언스
l
2017.08.03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에서 유전 돌연변이를 완벽하게 교정했다는 점이 이 연구의
최대
성과다. 중국은 최근 비정상 배아의 돌연변이 교정에 관한 2건의 연구 논문을 연달아 발표했지만 모자이크 현상과 표적 이탈 현상을 해결하지 못했다. 지금까지는 ‘착상 전 유전진단’이 유전질환 ... ...
카카오모빌리티 출범…‘나홀로 주행’ 시작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8.01
● 글로벌 진출 모색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 진출도 꾀하고 있다. 지난 5월 일본
최대
택시 호출 회사 재팬택시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양사의 택시 서비스를 연동해 한국과 일본 양국 이용자가 양국 어디에서나 택시를 호출할 수있게 하는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이를 통해 연간 500만명 ... ...
파리협정에서 체결한 기후변화 목표치 지켜질 확률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제시한 탄소 저감 정책과 최근에 달성한 효과를 포함해 분석한 것”이라며 “파리협정의
최대
목표치인 1.5°C를 지키려면 감축량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내 뇌에 너의 기억을 심으면 나는 너일까, 나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뇌-컴퓨터 연결… 정체성·책임소재 등 혼란 최근 신경과학계와 정보통신기술(ICT)계의
최대
화두는 인간의 두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정보를 주고 받는 ‘브레인-컴퓨터 인터페이스(BCI)’다. 지난 3월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창업자 엘런 머스크는 ‘뉴럴링크(Neuralink)’라는 회사를 창업했다. 뇌에 ... ...
차세대 에너지원 ‘핵융합’… 실용화 기술 누가 먼저 웃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있다. 스텔러레이터 방식도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장시간 유지할 수는 있지만
최대
온도나 플라스마의 밀도 면에서 실용화에 필요한 충분한 성능이 나오지 않고 있다. 결국 토카막 연구자들은 운전시간을, 스텔러레이터 연구자들은 핵융합 반응 성능을 높이기 위한 싸움을 하고 있는 셈이다. ... ...
민간-대학 동아리, 소형 실험용 로켓 ‘사운딩 로켓’ 붐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10초 동안만 작동한다. 이후 20여 초간 관성 비행을 해 30초 남짓한 시간 동안 하늘을 난다.
최대
고도 3km까지 도달한 뒤 낙하산을 이용해 지상에 착지한다. 권 교수는 “비록 소규모지만 대학에서 실험용으로 만든 사운딩 로켓 중에선 가장 클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대형 로켓 개발에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코이비스토 박사는 “심방 세동은 전세계 인구의 2%가 걸리는 위험한 질병으로, 연간
최대
700만 건의 뇌졸중을 유발한다”며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심방 세동을 감지할 수 있다면 많은 사람들의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16년 8월에 열린 유럽심장학회에서 ... ...
이전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