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4 30억 염기 서열 컴퓨터 정보처리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휴먼게놈프로젝트를 수행해나가는 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컴퓨터. 전산기술의 발달이 없었다면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는 나올 수 없었다. 프로젝트를 밀어주는 생물정보학의 오늘을 살펴보자.'약 30억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인체 게놈의 DNA 배열을 전부 결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파충류 포유류 등으로 머물 수도 있었던 인간이 진화에 성공한 드라마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필자는 우선 동물 생존의 핵심이 '이동'과'조작'임을 주목하는 데서 출발한다. 파충류는 이동과 조작이 미분화된 상태이며 포유류는 이동에 성공했다. 포유류가 이동에만 골몰하고 있을 때 조작의 기능성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죽은 사람이나 산 사람의 장기나 조직을 재활용하는 기술이 급진보함에 따라 뼈에서 소변에 이르기까지 이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더구나 연내에 뇌사를 인정하는 법이 제정되면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다.최근 보건복지부는 뇌사(腦死)도 심장사(心臓死)와 함께 인간 죽음의 기준으 ... ...
지구과학- 물 속에서 타는 촛불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우리는 공기 없이는 한 순간도 살 수 없습니다. 이러한 공기를 볼 수도 만져볼 수도 없어서 고마움을 모르고 지내기 일쑤입니다. 실험을 통해 공기를 확인하고 또 공기와 한 판 힘겨루기도 해봅시다. 여러분은 자신이 공기의 바다에 빠져 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나요? 눈에 보이지도 냄새가 나지 ... ...
지진징후 5가지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지진을 미리 예보할 수 있을까. 천체의 배열과 동물들의 이상한 행동에 대한 관측에서부터 전형적인 지진기상에 대한 설명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예보방법이 수백년동안 연구 돼 왔으나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1975년2월4일 중국 요령성 지진국(地震局)은 24시간 이내에 강진이 있다고 긴급 경고를 ... ...
2. 컴퓨터도 성능보다 편리성 중시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21세기 문명을 주도할 컴퓨터에도 인간공학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어느 부분이라도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설계는 외면당하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이 표준화 문제와 함께 더 쉽고 편한 컴퓨터를 만들고자 하는 것도 바로 이 이유에서다.인간공학은 영어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원병오-이번 조류탐사의 가장 큰 성과는 이즈미에 있는 두루미 도래지를 좋은 날씨 속에서 탐사한 것을 들 수 있겠습니다. 내 개인적으로는 과거에 두번이나 왔었지만 모두 비가 와서 제대로 볼 수 없었습니다. 이번에도 후쿠오카를 출발해 이즈미로 오는 동안 비가 오락가락해 우리 모두 얼마나 ... ...
도전 125년만에 풀린 '평면지도와 4색'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중요한 수학문제들은 실생활에서 별로 쓸모 없는 것처럼 보인다. 최근에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페르마(Fermat)의 정리(과학동아 94년 12월호)나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과학동아 95년 1월호) 등은 수학계의 대난제였으나 막상 해결되고 보니 그 내용이 실생활에 직접 쓰이는 일은 없다. 이들과 맞먹을 정 ... ...
3. 꿈의 에너지 핵융합, '인공태양'까지 구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핵분열과는 달리 핵융합은 바닷물 속에 연료가 무한정하게 존재하고 핵폐기물을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핵융합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초고온 초고압의 극한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먼옛날 인류의 조상들이 처음으로 불을 이용하기 시작한 후부터 현재까지 꿈 ... ...
국내 플라스마연구의 파이어니어 '한빛' 본격 가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미 1차 플라스마를 생성한 한빛장치는 오는 9월부터 정상가동에 들어가 연말까지 1천만도의 고온 플라스마를 생성시킬 예정이다.국내에서도 인공태양으로의 첫걸음이 시작됐다. 대덕 기초과학센터에 설치된 초고온 플라스마 실험장치 '한빛'이 시험가동에 들어갔다. 지난 1월25일 한빛은 질소가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