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
구별
"(으)로 총 61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앨런 튜링, 존 내쉬 같은 천재들은 왜 바둑에 열광했을까
2016.08.05
항목 사이의 독특한 특징을 검색하는 기억 체계는 아주 빠르게 그것의 독특한 특징을
구별
해냅니다. 이 정도의 패턴을 익히려면 1만 시간, 약 10년의 노력이 필요한데요. 이창호나 이세돌 같은 바둑 천재들은 이미 십대 때 바둑에 1만 시간 이상을 투자했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알파고와 제3국을 ... ...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
과학동아
l
2016.07.30
pixabay 제공 인간은 언제부터 어둠 속에서 물체를
구별
할 수 있었을까. 한․미 공동 연구팀이 망막 내 명암을 인지하는 간상세포가 밝은 빛을 통해 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을 ‘디벨롭멘탈 셀’ 6월 20일자에 발표했다. 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미국 국립보건원(NIH) ... ...
사람 얼굴
구별
해 알아보는 비둘기
2016.07.28
데 있어서 옷을 자주 갈아입어도 혼동을 느끼지 않고 얼굴의 특징만으로 흔들림 없이
구별
해 내는지 연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러한 능력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도시 환경에 적응해 나타난 현상인지 혹은 길들여짐과 관련이 있는지, 그 유전적 근거를 밝히는 데 있어서도 ... ...
변비, 복부팽만이 계속된다면? 이것을 의심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6.07.26
다르며 원인과 치료법 또한 다르다. 혹여 증상이 있다 하더라도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면
구별
할 수 있다고 하니 안심 또 안심 할 것. pixabay 제공 ●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것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에 도움이 된다? ☞ YES 과민성 대장 증후군과 항우울제가 도대체 무슨 관련이 있냐고? 잦은 ... ...
닭 대가리보다는 오리 대가리?!
2016.07.19
물체를 따라갔습니다. 이 실험결과를 통해, 새끼오리들은 같고 다름의 개념 차이를
구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옥스포드 대학교의 동물학자, 알렉스 카셀닉 교수는 “각인은 빠르게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새끼오리들은 다른 종의 동물들보다 이와 관련된 개념을 더 ... ...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6.07.18
생각했다. 옥스퍼드대 동물학과 카이트 뉴포트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얼굴을
구별
하는 데 복잡한 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 6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07.05
조금 다르게 들린다. 아이아이는 레이더처럼 생긴 커다란 귀를 기울여서 그 소리를
구별
해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아낸다. 일단 이렇게 애벌레의 존재를 알게 되면 다음은 날카로운 앞니를 내세울 차례다. 아이아이의 앞니는 매우 강력해서 열대 우림의 웬만한 나무는 다 뚫을 수 있다. 쥐가 ... ...
영화 ‘곡성’과 ‘브렉시트’에 투영된 인간 심리는?
2016.06.29
사람의 얼굴과 인형(마네킹)의 얼굴을 적절히 섞어서 보여주며 인간의 얼굴을
구별
하게 했습니다. 인간의 얼굴에 인형 얼굴이 10~20% 정도 섞인 것까지는 인간처럼 보입니다. 흥미로운 것은 인간과 인형이 거의 반반씩 섞인 모호한 얼굴은 당파적 관점에 따라 판단이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실험에서는 ... ...
안 보이던 류마티스 관절염까지 찾아내는 새로운 조영제 개발
2016.06.21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박지애·김정영 선임연구원팀은 체내 염증과 종양
구별
이 가능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용 진단신약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PET은 체내를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의료기기다. 흔히 조영제라 부르는 방사성 의약품을 섭취한 뒤 조영제를 흡수한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계획이다. 전자코 시스템에 붙일 후각 수용체가 늘어날수록 사람처럼 다양한 냄새를
구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연구진은 단백질이 부패할 때 생기는 ‘카다베린’이란 화합물을 탐지하는 수용체 개발에 성공하고 이를 실용화할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이 화합물을 탐지하는 기능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