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d라이브러리
"
재배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자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맞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현재 시점에서 볼 때 야생화의
재배
및 대량번식의 전망은 밝은 편이다. 상사화 백양꽃 노랑꽃무릇 꽃무릇 등은 대량번식이 진행되고 있어 2~3년 내에 일반에게 분양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동자꽃은 길가에 무리로 심어 효과를 검토한 후 ... ...
서독 막스-플랑크연구소의 「보다 좋은 감자」생산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분리해내고 그것을 식물에 직접 이식시킬 수만 있다면 우리는 단 1년만에 원래의
재배
종의 우수한 형질과 함께 원하는 저항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게 되는 식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감자의 조각을 얇게 썰어 그것을 인공 배양을 한다. 여기에 야생종에서 ... ...
PART 4 문명의 모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유용하게 이용한 최초의 시도는 신석기시대부터 일 것이다. 당시 인간은 농작물을
재배
할 줄 알았고 그들은 물에서 식수와 관개용수를 해결하였다.그래서 4대강 유역에서부터 큰문명이 발생되어 각기 고유의 위대한 문화를 이루었다.그리스의 위대한 역사가 '헤로도투스'는 이집트는 '나일의 하사품 ... ...
식생활의 혁명-제4세대의 식품이란? 최상의 것을 값싸게 구하는 시대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농작물이건 간에 이제 모든 산물이 보다 적은 비용으로, 보다 빨리 보다 크게 사육되거나
재배
된다. 60년대만 해도 병아리의 사육기간이 1백10일이었던 것이 이제는 60일로 단축되었고 그 무게도 1kg 더 나가게 되었다. 또한 보다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은 돼지의 품종을 개발하였고 곧 갈비뼈가 두개 ... ...
핵위험도피, 새로운 환경건설 지하세계의 실험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조절해 한대기후와 습도등도 인공적으로 얻을수가 있게되었읍니다. 또한 야채
재배
에 필요한 관개용수를 기존의 재래식 방법을 쓸 때보다 반으로 줄일수도 있었고 가뭄에 잘 견디는 품종을 선별해내기도 했읍니다.” 현재 ‘하지’소장은 ‘오만’만 인근의 거대한 관개 프로젝트를 추진중에 있다.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등을 함유한 화합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덧붙혔다. 그는 천연비료를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
하는 실험을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리비히’는 ‘J.B. 브산코’(1802~1887)가 밝힌 콩과류의 경우처럼 모든 식물이 질소를 대기로부터 흡수한다는 학설에 바탕을 두었다.그 때문에 화학비료의 ... ...
연간 규모 1조원의 전매사업 뒷받침 한국 인삼연초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화학약품을 쓰기도 어렵다. 그래서 뿌리썪음병을 막기 위한 무공해 농약 개발을 비롯, 신
재배
방법개발도 중요과제다. 이렇게 생산되어도 중공을 비롯한 대량생산국의 덤핑수출을 막기위해서는 다양한 가공신제품개발이 필요하다. 최근엔 연질캡슐제와 트로치형의 홍삼활력정을 실용화하였고 8 ... ...
두산연구소 농·축산 분야에서 독특한 실적올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중심으로 전국에 5개분소 (안면도-가축개량, 안흥-새우양식, 사천-보리육중, 청하-포도
재배
, 횡성-호프생산)를 현장실습지로 활용하고 있다.60여명의 직원중 43명이 연구인력, 현재 회사의 지원으로 박사학위과정을 밟거나 해외연수중인 사람도 상당수있다고 한다. 생물학과 관련된 전공을 한 ... ...
소리없는 재앙 20세기말까지 1백만종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소홀히 한 결과 밀 쌀 콩 고구마 토마토 감자 바나나 귤과 같은 작물들의 많은 야생종과
재배
종들이 이미 멸종해 버렸으며 그 추세는 변할 것같아 보이지 않는다. 발견되기도 전에 멸종되는 생물도 인간이 동식물을 이용한 역사를 훑어보면 멸종해가고 있거나 피상적으로 중요하게 보이지 않던 ... ...
한국 축산의 기초를 닦은 건국대 축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문을 연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은 올해로 28주년을 맞았다.한국유일의 이 축산대학은 작물
재배
위주의 재래식 농법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축산으로 우리나라 농업을 다양하게 일으켜 세우겠다는 목표로 출발했다.그 대학건물은 그동안 약 3천명의 축산전문 고급인력을 배출한 것이 대견한 듯 약간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