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장
과시
자부
자존심
교만
긍지
자랑거리
d라이브러리
"
자랑
"(으)로 총 1,366건 검색되었습니다.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상상 그 이상의 설계'
과학동아
l
200807
흡음재는 삼각뿔 모양 흡음재가 잘 흡수하지 못하는 10~400Hz 진동수 음까지 흡수한다”고
자랑
했다. 비행기 안전 책임지는 트랜스듀서2005년 연구단이 자동설계기술로 개발한 Z형 자기변형 트랜스듀서는 히트 제품 중 하나. 트랜스듀서는 비행기 날개나 기름을 운반하는 송유관 같은 각종 구조물의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06
서쪽 하늘을 토성과 화성이 장식한다면 동쪽 하늘은 목성이 -2.7 등급의 밝기를
자랑
한다. 6월 20일 밤 9시 20분쯤 보름을 갓 넘긴 월령 17일인 달이 목성과 함께 동쪽하늘에서 떠올라 아침 6시 50분까지 함께 이동한다.달과 목성 사이의 겉보기 각은 약 4°로 매우 가깝다.적도의*천구의 북극을 축으로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06
대벌레’는 가시가 삐죽 솟은 갑옷을 입은 듯 당당하다.하지만 우아한 목을
자랑
하는 긴목기린 바구미도, 아크리옵테라 대벌레도 수십 년 뒤에는 이 섬에서 사라질지 모른다. 지난 수백 년 동안 무분별하게 이뤄진 포획과 산림 벌채로 씨가 마른 대형 동물들처럼 말이다.무게가 500kg에 몸높이가 3m에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06
비용을 해결하는 게 가장 쉬웠다고 밝혔다. 자신이 돈을 버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사실을
자랑
하고 싶기도 했지만, 우주여행을 하는 데 돈 말고도 중요한 요소가 있다는 점을 전하고 싶었을 것이다.미국의 유명 가수 존 덴버는 이미 1980년대에 우주왕복선을 타고 우주로 가려고 노력했다. 그래서 미국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05
보인다. 아파다나는 1만 여명의 사람들이 동시에 모일 수 있을 정도로 웅장한 규모를
자랑
한다. 당시 기술로 어떻게 이렇게 큰 건축물을 지을 수 있었는지 놀랍기만 하다.이런 높은 가치 때문에 페르세폴리스는 1979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됐다.실크로드 타고 이어진 한국과 이란의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인들은 고대의 일본인들이 고구려의 천문학을 배웠다는 사실을
자랑
스럽게 생각하지만, 그런 사실을 밝혀낸 과학사연구자에게는 별로 관심이 없다. 전통과학사 연구를 의미 있게 생각하고 연구자를 기억하려는 태도는 아무래도 현대의 한국인이 일본에게 배워야 할 것 같다 ... ...
용암과 강이 빚은 장관, 그랜드캐니언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5
쌓인 장대한 지층과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자랑
하는 그랜드캐니언. 그 동안 미국 애리조나 북부에 있는 그랜드캐니언의 서부지역은 120만 년보다 더 오래된 암석으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그런데 미국 뉴멕시코대학교의 라이언 크로우 박사팀은 최근 그랜드캐니언이 72만 5000년보다 젊은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04
17차 원정대와 함께 ISS를 방문한다. 지상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
하는 ISS. 이소연 씨의 이번 방문을 계기로 10주년을 맞은 ISS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재조명해본다. ‘자유’와 ‘평화’가 만났다우주정거장은 우주개발 초기의 과학자들에게 꿈과 같은 목표였다. 인류의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04
관심을 받았다. 친환경 과학기술로 브랜드의 가치를 높인 셈이다.현대자동차가 가장
자랑
스럽게 내놓은 ‘아이모드’(i-Mode)는 윈드실드 글라스와 사이드 및 루프글라스를 바이엘의 친환경 신소재인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기존 강화유리에 비해 150배 이상의 충격에도 견딜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04
실리콘 기판으로 만든 반도체도 고정된 상태로만 쓸 수 있다. 해결책은 탁월한 유연성을
자랑
하는 유기소재인 플라스틱을 기판으로 대체하는 것. 그런데 플라스틱은 온도가 올라가면 흐물흐물 녹아내린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현재 반도체 증착 과정에는 1000℃까지 올라가는 공정도 있으므로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