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장
과시
자부
자존심
교만
긍지
자랑거리
d라이브러리
"
자랑
"(으)로 총 1,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쇄전자기술은 한국이 최고
과학동아
l
200902
압전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함이었다.컬럼비아대는 100년이 넘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
하며 일명 아이비리그로 불리는 미국 내 사립 명문대 중 하나다. 필자가 초청받은 전기공학부는 FM 라디오와 장거리 전화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곳이며 음악 파일 재생 알고리즘인 MPEG 시리즈의 특허도 갖고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01
숭례문 주위에는 감히 들어가지 못한 채 머뭇거리고 있는 모습이란. 600년의 역사를
자랑
하던 작은 거인은 그러나 개미보다 작은(사진으로는) 한 사람의 객기로 만신창이가 됐다.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나라로 손꼽히는 우리나라는 한술 더 떠 인구 대부분이 대도시에 몰려 움직일 때마다 ... ...
LED Lights Light the Future
과학동아
l
200901
한 회의장에서, 그는 럭비공보다 약간 작은 타원형의 길쭉한 은빛 물체를 집어들고
자랑
스럽게 휘둘렀다. 뒤이어 그는 “우리는 이 시장을 만들 것이다. 우리는 게임의 규칙을 새로 바꿀 것이다”라는 판매용 발언을 했다. 바일스마는 네덜란드의 로얄 필립스 전기회사에서 고객담당 조명 업무를 ... ...
현지취재_진화론이 살아 숨 쉬는 다윈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200901
완벽하게 보존된 상태에서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 다윈센터이기 때문이다. 영국이
자랑
하는 과학자 다윈의 이름을 내건 다윈센터에서 그의 진화론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사회 곳곳에 ...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4
고유생물의 생생한 모습을 만나 보세요. 독특한 아름다움을
자랑
하는 식물과 생존을 위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동물 등 오로지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소중한 생물이에요. 이들이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진정한 보물이랍니다. 과연 어떤 보물이 우리나라를 장식하고 있는지 함께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1
주장을 듣자 왠지 정말로 동영상이 조작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냉철한 분석력을
자랑
하는 카리닷사가 남의 말을 그대로 믿을 수는 없는 일! 즉시 마음을 가다듬고 제기된 의혹을 분석하기 시작했다.의혹➊ 우주 유영을 하는 우주인의 헬멧 부분에서 기포처럼 보이는 물질이 위로 솟아오르는 ... ...
나사 50주년기념, 최고의 명장면 50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8
사우디아라비아의 산호초 지대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중동 지역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자랑
하는 이 산호초 지대는 홍해 북부에 있다. 염도가 다른 바다보다 높지만 260종에 달하는 산호가 살고 있다. 나사를 빛낸 사람들나사의 50년 역사 동안 어려운 일도 많았어. 실험과 연구가 실패하기도 하고 ... ...
밀가루가 폭탄이 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7
이럴 수 있는 거냐?!” 사건의뢰 - 옥토끼 vs 옥도끼토끼 모자를쓴사람은 30년 전통을
자랑
하는 ‘옥토끼 방앗간’의 주인인 송편해 씨. 송편해 씨는 송편을 만드는데남다른 재주가 있어, 옥토끼 방앗간은 눈코 뜰 새 없을 정도로 장사가 잘됐다. 그런데 아무 걱정 없던 송편해 씨에게 최근 근심이 ... ...
뻘뻘~ 비석이 땀을 흘린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4
징조를 보이거든.”“이 비석이 무슨 신통력이 있다고 그러는 거죠?”“우리 홍제사의
자랑
인 표충비는 임진왜란 때 나라를 위해 몸 바쳐 싸우신 사명당 송운대사를 기리기 위해 1742년 세운 비석이지. 나라를 걱정했던 사명당의 혼이 깃들어 있어 국가에 중요한 일이 생기면 구슬땀을 흘린다네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12
그리고 서양 천문학이 반영된 시헌력이었다. 당시 천문학자는 삼력관이 되는 것을 무척
자랑
스럽게 여겼는데, 역대 삼력관의 계보를 책으로 엮어 놓았을 정도다. ‘삼력청선생안’(三曆廳先生案)이 그것이다. 이 문헌에는 삼력관의 본관, 출신, 생년월일,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간단한 계보, 역임한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