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太)’는 ‘대(大)’ 두 개를 위 아래로 붙여서 표현했어요. 이후 아래쪽의 ‘대(大)’ 한 개가 점으로 바뀌었답니다.태양의 ‘양(陽)’은 ‘언덕’이라는 의미의 ‘언덕 부(阝)’와 빛을 뜻하는 ‘볕 양(昜)’이 합쳐진 글자예요. ‘볕 양’은 ‘아침 단(旦)’이 변형된 글자로, 땅 위에 해가 뜨는 모양 ... ...
- [수학뉴스]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방향으로 직진 이동이 가능합니다.싸이클롭은 수중에서 가상의 격자 위에 놓인 수백 개의 지표를 따라 이동하며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합니다. 그래서 육지에서 찍은 이미지만큼 높은 화질의 수중 지형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3차원 수중 지형도를 만든 뒤 3D프린터로 실제 지형을 ... ...
- [재미] 마왕의 탑 5화_오일러의 한붓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말했던 그래프와 뭐가 다르지요?”단이 이해가 안 간다는 듯이 물었다.“홀수점이 두 개인 그래프에서는 홀수점에서 시작해야만 한붓그리기가 가능해요. 그리고 한 홀수점에서 시작하면 항상 다른 홀수점에 도착하게 돼요.”“그렇게 잘 아는데 왜 여기를 못 빠져나가고 있는 거예요?”단이 묻자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수의 역사를 통해 정수와 유리수 체계를 배운 뒤, 과거 다양한 문명에서 등장한 숫자를 소개하고 직접 써보도록 한다. 여러 나라 숫자를 써 보면서 인도-아라비아 숫자의 장점을 이야기해본다. 또한 수학이 처음부터 완벽하게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차 발전한 ... ...
- [과학뉴스] 불의 고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있어 불의 ‘고리’라고 부릅니다. 길이만 4만km가 넘고, 인접한 화산의 숫자는 450개에 이릅니다. 우리나라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하지만 불의 고리에서 일어나는 지진들이 모두 서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 발생한 두 지진도 원인과 종류가 달랐습니다. 일본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의 ‘인터스텔라’ 계획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하는 칩을 붙인 ‘우주 돛단배’ 형태의 우주선, ‘나노크래프트’를 디자인했다. 약 1000개의 나노크래프트를 발사체에 실어 지구 밖으로 내보낸 뒤, 지구에서 발사한 레이저로 이들을 추진해 우주로 날려 보내는 계획이다. 속도는 광속의 5분의 1 수준으로, 오늘날의 우주선으로는 3만 년 걸리는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해저 지형을 유추한 연구 결과를 2008년 발표했다(doi:10.1121/1.2963048). 수심 별로 여러 개의 수중음향센서를 설치하면 파도 소리가 시간차를 두고 녹음된다. 해수면에서 바로 전파된 음도 있지만, 해저면을 맞고 돌아온 소리도 있다. 이를 분석하면 수심을 추정할 수 있다. 계산 결과는 실제 수심을 잘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2년)에게 난소를 전했다. 50원짜리 동전만한 분홍색 난소에는 공기 방울 같은 것들이 10여 개 들어있는데, 이곳이 난자가 저장된 곳이다. 보통 주삿바늘을 찔러 난자를 채취한다. 권 연구원은 “한때는 연구원들이 직접 난자를 가져와야 했는데 지금은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탄자니아, 모잠비크, 그리고 아시아의 캄보디아 등지에서 후각만으로 약 6만 8380개의 지뢰를 찾아냈어요. 몸이 가벼운 덕분에 지뢰를 밟아도 안전하기 때문에 지뢰밭을 마음껏 누비며 지뢰를 찾아낼 수 있었죠.이 쥐들은 태어난 뒤 1달이 됐을 쯤부터 지뢰 속에 들어 있는 폭탄 물질인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녹아 있는 기체가 바로 이산화탄소예요. 또한 조개껍데기에 염산을 떨어뜨리면 조개껍데기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염산과 반응한 결과 이산화탄소가 생기지요. 산소가 충분한 환경에서 물질이 탈 때 생기는 기체도 이산화탄소랍니다.드라이아이스는 고체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말해요. ... ...
이전5155165175185195205215225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