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5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경우 결국은 평균이 바뀔 뿐 상대적인 분포는 유지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즉 필자가 한
세대
뒤에 태어났더라도 키가 지금보다 5센티미터 더 커질 뿐 평균과의 차이는 비슷할 거라는 얘기다. ... ...
첨단 융복합 기술의 첨병으로 불리는 3대 기계기술
2014.10.24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디지털 제조뿐만 아니라 설계 혁신, 가볍고 현대적인 금속 제조, 차
세대
전력전자 장비 제조 등을 추진한다. 박천홍 기계연 첨단생산장비연구본부장은 “기계가 다른 기계와 소통하고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앞두고 디지털 제조의 ... ...
금속성형 세계 최고 석학 타일란 알탄 교수
2014.10.22
있는 그는 한국기계연구원이 24일 개최하는 ‘2014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에서 ‘차
세대
제조기술’ 세션의 첫 기조강연자로 나선다. IT기술이 각광받고 있는 요즘 금속성형 기술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앞으로는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게 될지 포럼에 앞서 알탄 교수와 e메일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24일 개최하는 ‘2014 미래기계기술포럼 코리아’에서 루크 리 교수는 차
세대
제조기술 세션에서 기조강연자로 나선다. 포럼에 앞서 루크 리 교수와 e메일 인터뷰를 통해 나노바이오 융합 기계기술의 현재와 미래 전망에 대해 들어 봤다. - 이번 포럼에서 어떤 내용을 발표하는가. 10년 이상 ... ...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지금보다 수백배 더 저장용량이 큰 차
세대
3차원 반도체나 고효율 광전자 소자 등을 개발할 수 있어 국내 전자기기 산업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동기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은 매우 정밀한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청색LED를 발명한 일본 물리학자들에게 돌아갔다. LED가 백열전구와 형광등에 이어 3
세대
조명으로 등장하는데 청색LED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햇빛 같은 자연스러운 백색광이 나오려면 기존의 적색, 녹색LED만으로는 불가능했는데 청색LED가 나오면서 백색광이 실현된 것(삼원광을 합치면 ... ...
[부고]최순달 KAIST 명예 교수
2014.10.19
전기공학과를 거쳐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 인공위성 1
세대
전문가로 한국전기통신연구소(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대 소장, 체신부 장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초대 소장 등을 역임했다. TDX 전전자(全電子) 교환기를 개발해 한국이 통신 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는 ... ...
노벨상 수상자 반전 매력 ‘스케치 오브 사이언스’
2014.10.10
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로버트 로플린 전 KAIST 총장. - KISTEP 제공 젊은
세대
에게 영감을 주는 즐거운 과학은 없을까. 스웨덴 노벨박물관은 이 고민에 대한 답으로 ‘스케치 오브 사이언스(Sketch of Science)’ 전시회를 기획했다.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에게 커다란 전지와 크레파스를 던져 주고 ... ...
[사이언스 브리핑]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 공청회 外
2014.10.06
이번 공청회는 광복 100주년이 되는 2045년까지 국가 번영을 위해 현재
세대
가 미래
세대
의 번영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는 자리다. 공청회에는 KAIST 교수 5명 등 미래학 전문가 7명이 참여해 분야별 주제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KAIST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내용과 참석자들의 의견을 ... ...
차
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해 발광효율을 높였다. - 울산과기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주도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차
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각광받고 있는 OLED(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3배 더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 되면 TV나 컴퓨터 모니터 같은 제품의 성능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