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원 꺼져도 정보 보존되는 ‘강유전체’ 수수께끼 풀려
2014.12.03
또 데이터를 대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고 작동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까지 고루 갖춰 차
세대
반도체 및 메모리 소자의 핵심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은 티탄산바륨을 이용해 두께가 3nm(나노미터)에 불과한 강유전체 박막을 만들고, 이 박막을 하부전극(LSMO)과 상부전극 사이에 붙인 ... ...
[직접 써봤어요]삼성전자 웨어러블 ‘기어S’
동아일보
l
2014.12.03
기어S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연동해서 쓸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로 개통해 3
세대
(3G) 이동통신,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기어S 출시에 맞춰 내놓은 월 1만 원짜리 ‘T 아웃도어’ 요금제에 가입했습니다. 기존 휴대전화 번호 외에 기어S 전용 새로운 휴대전화 번호가 추가로 ... ...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겸직) 송봉근 △광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장 문상진 △분리막연구센터장 남승은 △차
세대
전지소재연구센터장 강영구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장 원종찬 △박막재료연구센터장 정택모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의약화학연구센터장 안진희 △신물질기반기술연구센터장 이상달 ... ...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
과학동아
l
2014.11.28
빌 게이츠와 그의 아내 멀린다가 운영하는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은 지난해 ‘차
세대
콘돔’ 개발에 거액의 상금을 걸기도 했다. 핵심은 두께를 확 줄인 초박형 콘돔. 영국 맨체스터대는 원자 몇 층에 불과한 그래핀을 이용해 ‘그래핀 콘돔’ 아이디어를 냈고 미국 오리건대는 시중에 나와 ... ...
페이스북-구글 이어… 애플도 VR시장 진출
동아일보
l
2014.11.27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잇따라 가상현실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가상현실 분야가 차
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애플은 가상현실 관련 시스템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개발자를 구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상현실 기기는 컴퓨터로 만든 가상의 3차원(3D) 공간에 직접 들어가 ... ...
항생제도 안 듣는 헬리코박터균, 나노입자로 잡는다
2014.11.26
재료를 이용했기 때문에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리앙팡 장 교수는 “리포LLA가 차
세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 첫 번째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4일자에 실렸다. ... ...
[사이언스 브리핑] 전기硏, 펨토초 레이저 광원 기술 이전 外
2014.11.26
구현 가능한 우수한 연구 결과”라며 “앞으로 초정밀 안과수술 같은 의료산업이나 차
세대
정보 저장장치 등의 IT산업을 아우르는 레이저 가공장비 시장의 문을 열었다”며 이번 기술이전의 의의를 밝혔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상배 광전융합시스템 연구단 책임연구원이 미국 광학회 ... ...
100배 빠른 인터넷 기간망 국산화 기술 개발
2014.11.26
코렌(KOREN)에 적용해 기능 및 성능 시험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장비는 차
세대
광네트워크 인프라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성능의 장비는 있지만 지금까지 국산화돼 있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이번에 개발된 장비는 외국산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고 유지 보수가 ... ...
20Km 반경 전파 방향 정확히 찾아낸다
2014.11.24
“외산 장비 의존도가 높은 국내 전파방향탐지 시장에서 ‘3
세대
광대역 방향탐지 기술’과 관련해 핵심 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가격도 과거 대비 절반수준으로 제작할 수 있어 비용절감 효과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ETRI 측은 전파방향 탐지시스템을 상용화 하고 몽골, ... ...
플라스틱 기판에 무기물 반도체 옮기기 성공
2014.11.23
무기물은 유기물보다 전기적 성능은 뛰어나지만 얇고 휘어지는 특성이 없어 차
세대
디스플레이나 메모리 등을 만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레이저를 활용해 무기물 반도체 소자를 유연한 기판 위에 전사했다. 무기물 소재 기판 뒷면에 레이저를 조사해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