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름기 음식 냄새만 맡아도 심장병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미국 인디애나주 푸르드대학의 영양
학자
매츠박사는 학생들에게 식물성 기름이 든 캡슐을 먹이고 1분간 치즈케이크 같은 고지방성 음식을 씹다가 삼키지 말고 뱉게 했다. 그러자 몇시간 내에 학생들의 혈액 내 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가 ... ...
카오스축구가 월드컵정상에 오른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3단계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뉴캐슬유나이티드의 지난 시즌 성적을 분석한
학자
들은 또 다른 결론를 끌어냈다. 시스템에 아주 미미한 변화를 주어도 그것이 미래에 거대하고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카오스 이론에서 말하는 ‘나비효과’ 때문이다. 이것은 ... ...
핵겨울설 한계 뛰어넘은 새 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결국 공룡이 멸종한 직접적인 증거로 채택되려면 아직 대기
학자
, 지질
학자
, 생물
학자
들의 연구가 더 필요한 상태다.""김상준교수의 이론은 공룡이 멸종하기전의 환경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충남대 천문학과 김용하교수는 덧붙인다. "이 이론에서 공룡 멸종에 ... ...
중국이 목판인쇄 고집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발간사업은 10여년 간 무려 5천48권, 13만페이지에 달하는 위대한 출판 기록을 남겼다. 한
학자
에 따르면 16세기까지 중국은 어떤 다른 나라보다 많은 인쇄 서적을 갖고 있었다.이에 비해 목판 인쇄술은 서양에서 별다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서양에서는 이것이 오히려 불편했기 때문이다. 그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그런데 턱이 너무 작아 어떻게 많은 양의 먹이를 먹었을까 하는 것이 의문이다. 그래서
학자
들은 아파토사우루스가 하루종일 먹고 지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뇌의 무게는 몸 전체 무게의 10만분의 1로 매우 작아 지능이 낮았을 것으로 추측된다.아파토사우루스와 같은 용각룡들은 몸무게가 너무 ... ...
시대를 풍미한 만병통치약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만병통치약이란 것이 가능하다고 여기지 않는다. 따라서 양식있는 의사나 의
학자
라면 아무도 그런 것을 만들려는 헛된 노력을 하지 않는다. 간혹 정통 의·약학적 연구에 의해 만들어진 약이 만병통치약 비슷하게 쓰이는 경우가 있지만 이런 ‘남용’은 사실 의학계와는 전혀 무관하다. ‘특정한 ... ...
마라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같은 높은 글리코겐 저장량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1970년대 후반 경 미국의 운동생리
학자
셔만에 의해서 제안됐다. 이에 따르면 시합전 7일간의 기간 중 첫 3일 동안은 총 필요 열량의 55% 정도를 탄수화물에 의존하는 정상적인 식사를 하면서 훈련양을 약간 줄인다. 후반부 3일간은 탄수화물이 주가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이름이나 한반도의 지역 이름을 붙인 공룡이 언젠가 나올지 모른다. 왜냐하면 많은
학자
들이 "한반도는 백악기 공룡들의 낙원이었다"는 말을 하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 공룡이 살았다는 증거가 나오는 곳은 영남지역. 이곳은 백악기 때 퇴적된 지층으로 공룡의 뼈화석, 분(똥)화석, 알껍질화석, ... ...
불면증 치료에서 항암제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또 데카르트는 송과선을 '영혼의 자리'라고 주장해 오랫동안 과
학자
들의 생각을 지배했다.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의 기능은 1917년 한 실험에 의해 처음 제시됐다. 소의 송과선에서 추출한 물질을 올챙이에게 발라주자 피부색이 엷게 변했다. 이후 1950년대말 송과선 ... ...
고온초전도체 발견 10년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수 있다.1994년 서울을 방문한 세계적인 고온 초전도체 연구자인 추박사는 "훌륭한 물리
학자
가 되려면 누구나 예외없이 일생에 한번은 초전도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초전도 물리학은 심오한 학문이다. 만약 자연의 신비를 풀어나가는데 삶을 바치고 싶은 젊은이들이 있다면 꼭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