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15%, 일생에 한번은 우울증에 빠진다.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무기력해져서 마치 우울증 환자들이 보이는 것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한편 인지심리
학자
들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들에게는 삶에서 겪는 경험들에 대한 부정적인 왜곡과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그리고 비관주의와 절망감 등의 인지기능상의 왜곡이 잘 일어난다. 이렇게 학습된 부정적인 ... ...
생리·의학상/도어티, 친커나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바이러스 항원이 결합해 모양이 바뀐 덩어리를 수용체가 인식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면역
학자
들은 두번째 모델이 타당하다고 결론지었다. 자신을 공격하지 않는다도어티와 친커나겔의 발견은 1974년 '네이처'에 게재됐다. 몸의 면역체계는 외부 침입자와 함께 '주조직적합항원'이라는 자신의 단백질 ... ...
인과율을 조롱하는 영화적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형태로 변화시켰다. 여기에다 과학계에서도 ‘과학적 상상력’ 을 통해 몇몇 물리
학자
들은 ‘웜 홀’(Worm hole)이나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등을 통해 타키온의 존재를 조심스럽게 예견하고 있다.이렇듯 시간여행에 대한 인간의 풍부한 상상력은 일상의 시간에 찌들고 삶에 지친 우리들에게 ... ...
심해유물 어떻게 찾나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한명의 조정자와 두명의 관측자가 탈 수 있는 4천5백m급 유인잠수정으로, 1964년 해양
학자
앨린 빈(Allyn Vine)이 해군에 건의해서 만들기 시작해 1974년에서야 완성했다.발라드박사가 타이태닉호를 발견할 당시 타이태닉호을 먼저 본 것은 아르고였다. 아르고는 6천m까지 잠수할 수 있는 예항형 ... ...
소행성들, 가니메데 무차별 폭격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에우로파를 원시생명이 살지도 모르는 곳으로 지목해 왔던 이유는 바로 여기 있다.행성
학자
들은 에우로파 표면에 ‘고속도로’가 생긴 과정에 대해 두가지 모델을 세웠다. 첫번째는 지각에 균열이 생긴 뒤 규산염이 물 또는 퍼석퍼석한 얼음에 녹은채 균열을 채웠으리라는 것. 또 ‘고속도로’ 는 ... ...
4. 숙취해소 컨디션·아스파·비지니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에서 추정된 것이다. 그런데 실험 결과가 일정치 않다.
학자
마다 실험에 사용하는 쥐의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알코올을 섭취시키는 양도 다르기 때문이다.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알코올의 대사 과정을 정확하게 연구하는 일이 절실한 실정이다 ... ...
환경에 예민한 해초의 번식전략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재수가 좋으면 합쳐지고, 운이 없으면 죽는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러나 마인대학의 생태
학자
인 피어슨박사팀은 흔히 발견되는 블래더 랙(Fucus vesiculosus, 잎에 기포가 있는 해초)을 연구한 결과 그들의 섹스가 우연한 것이 아님을 알아냈다.이 해초는 바다가 거칠 때는 섹스를 기피한다. 파도가 그들의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들면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므로 산소 1그램 원자량은 16g이다 1822~1884 오스트리아의 생물
학자
, 근대 유전학의 창시자 모라비아 지방의 한촌 하이첸도르프에서 작은 과수원을 가진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가정교사를 하면서 올뮈츠의 단기대학을 졸업하고 브륀(현재 체코슬로바키아의 브르노 ... ...
3. TV로 인터넷을 인터넷으로 TV를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홈쇼핑 등 차세대 서비스로도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지난 60년대를 풍미했던 미래
학자
마샬 맥루한은 ‘미디어는 메시지다’ 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것은 내용과 관계없이 바로 미디어 자체이자 본질이란 의미다. 이와 함께 그는 “미디어의 영향력이란 메시지를 ... ...
2. 과학탐구토론대회 새로운 공룡멸종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토의도 부족했다. 서로 얘기는 많이 했지만 독창적인 생각들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그저
학자
들의 학설에만 의존해 발표했던 점이 참여자에게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주제가 비슷한 팀들이 많아 흥미를 가지고 주의깊게 듣기에는 지루한 면이 있었다. 끝으로 이런 대회가 전국단위의 대규모 토론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