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박찬 뒤, 다음 박자에서 동시에 뒷발 두 개가 땅을 박차고, 나머지 두 박자 동안 네 발 모두 공중에 떠 있다가 다시 앞발 두 개가 한꺼번에 착지하는 형태의 걸음걸이도 생각해 볼 수 있다.이언 스튜어트는 과연 이런 걸음걸이가 있을지 찾아보았다. 그리고 놀랍게도 카우보이 게임에서 야생마가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원환체를 아래 전개도와 같이 물결무늬의 단위 도형으로 쪼갰다. 그런 다음, 이를 이용해 모두 200개의 꼭짓점을 가진 클리포드 원환체의 전개도를 만들어 세상에 소개했다.하지만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원래의 도형과 비교해 오차를 지닌 전개도다. 즉, 전개도의 근삿값을 구한 것과 같다. ...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하는지는 모르겠어. 그 사람만 나타나면 이상하게 분위기가 딱딱하게 굳고 사람들이 모두 긴장을 하거든. 테스티는 사람들을 꼼짝 못하게 만드는 힘이 있어. 나도 그 사람 앞에만 가면 쓰려고 했던 글자도 실수로 잘못 쓰곤 하지.”펜슬맨의 설명에 페이퍼맨도 고개를 끄덕이며 동감했다.“그 사람은 ... ...
- 봄이 오면 산에 들에 불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가로, 세로 100m인 운동장 50개에 해당한답니다. 또 포항에서는 산 아래 있는 주택 56채가 모두 탄 데다 사망자까지 나왔어요. 포항에서 일어난 불은 중학생의 불장난이 원인이라 안타까움을 더했답니다.초봄은 대기가 건조하고 나뭇가지가 아직 말라 있는 상태라 작은 불씨도 크게 번지기 쉬워요. 또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아름다움을 느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인 것 같다.최영준 기자의 첨삭 포인트세 기자 모두 취재에서 느낀점을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게 잘 정리했어요. 하지만 제목을 쓰지 않거나, 어려운 개념을 설명 없이 이름만 쓴 점은 아쉬웠습니다. 그 부분을 수정하니 세 기자마다 서로 다른 느낌이 생생하게 ...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수 있다면 수학적 성질이 같은 것으로 봐요. 그런데 양자홀 효과가 정수(또는 반정수)면 모두 위상 수학적 성질이 같은 거예요. 따라서 양자홀 효과가 정수면 ‘보손’, 반정수면 ‘페르미온’이라고 판단할 수 있죠.수학동아 : 김 교수님과 가임 교수님은 계속해서 비슷한 시기에 같은 연구 결과를 ... ...
- [동아리탐방] 해법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다! 서울 안천중 HUG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중간고사 이후부터 꾸준히 ‘수학 잡지’를 만들기 위한 시간을 갖고 있다. 동아리원 모두의 땀과 열정으로 만들어지는 수학 잡지는 앞으로 매 여름과 겨울에 펴낼 예정이다. 그들이 펴낼 새로운 역사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정답’만이 아닌 ‘해답’을 찾기 위해 열정적으로 활동하길 응원한다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셴 딜론 연구원은 “상용화된 배터리와 비교했을 해도 충·방전 능력, 에너지 밀도 모두 경쟁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3D프린터로 만든 초소형 배터리는 곤충을 모방한 초소형 로봇, 의료기기, 휴대기기에 쓰이게 될 전망이다.이번 연구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6월 8일자에 실렸다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마치고 한국을 방문한 데니스 홍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기존 로봇은 모두 로봇의 팔이나 다리의 각도를 컴퓨터에 입력해 모터로 조정하는 방식이라 안정성이 떨어졌다”며 “균형을 맞춰가며 인공근육의 힘을 조정하는 ‘포스 컨트롤(Force Control)’ 방식을 적용해 안정성 높고 힘센 ...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최단 거리를 찾는 문제로 바꿨다. 하노이의 탑을 푸는 과정에서 생기는 경우의 수를 모두 보드게임 말판처럼 평면 위에 늘어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를 대칭으로 만들어 입구에서 출구(먹이가 있는 곳)까지 이어지는 최단 거리가 하노이의 퍼즐을 해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게 했다. 입구에서 출구까지 ... ...
이전5125135145155165175185195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