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72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완벽하고 건강한 식단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완벽한 건강 토스트처럼 보인다. 사이언스는 노화와 관련된 각종 퇴행성 질병으로부터
우리
몸을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식단을 특집으로 다뤘다. 미국 하버드대와 보스턴어린이병원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진은 다양한 질병의 관점에서 두루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식단에 관한 리뷰 ... ...
“한해 1000만명이 슈퍼박테리아로 사망하는 시대 온다"
2018.11.18
여러 생체 기작을 동시에 방해하는 물질을 찾는 등 최대한 균을 억제할 방법을 찾는게
우리
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말했다. 세균의 진화가 두렵다고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는 얘기다. 이광준 질병관리본부 감염병연구센터 연구관은 “정부도 지원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며 “공공-민간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중후한 목소리에 끌리는 이유
2018.11.18
사실입니다. 낮고 중후한 목소리를 들으면 한번쯤 돌아보게 된다는 사람이 많습니다.
우리
는 왜 멋진 목소리를 가진 남자를 좋아할까요? 암수의 구분 남성과 여성은 신체적 구조가 다릅니다. 하지만 다른 동물처럼 엄청나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신장의 차이는 1.2배 정도에 불과하고, 체중도 크게 ... ...
“점점 뜨거워지는 지구는 시한폭탄…당장 생활방식부터 바꿔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1.18
감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콘퍼런스는 KAIST 녹색성장대학원과 사단법인
우리
들의 미래가 공동 주최했다. 국내외 환경 전문가 4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시스템의 궤적’ ‘파리기후협정의 성패를 좌우할 금융 조달방안’ ‘동북아 수퍼그리드, 한국은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창고문 바로가기 원격 제어 중 모습. 하병욱씨의 인스타그램(bruce8893) 동영상 캡쳐
우리
로봇은 앞을 보고 움직이는 방식이에요. 카메라로 들어온 영상을 분석해서 눈앞에 있는 게 어떤 작물인지, 이랑과 고랑이 어딘지 파악해서 스스로 움직이는 거죠. 자율주행차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돼요 ... ...
'빵 덕후'라면 놓치지 말자, 밀 유전자 지도
과학동아
l
2018.11.17
낱알 개수는 1㎡당 1119개 줄었고, 밀알 1000알의 무게는 1.2g 감소했다. 가뜩이나 몸값 비싼
우리
밀이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더 높아진 것이다. 서 교수는 “밀이 가진 고온 저항성 유전자를 연구함으로써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 교수에 따르면 고온 다습한 한국은 고온 ... ...
나도 모르는 나의 수면 지연 습관, SNS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조건이 아니라 사회적 압력”이라며 “실내에서 스마트폰을 보며 지내는 시간이 늘면서,
우리
삶에 태양이 미치는 영향이 점점 약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 ...
[이강운의 곤충記] 아름다운 색과 뚜렷한 개성을 지닌 호주의 딱정벌레들
2018.11.16
멀어지고 있습니다. 곤충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생명의 신비에서도 멀어졌습니다. 그래서
우리
곁을 지키는 곤충들의 한살이와 생태를 담은 글과 사진을 준비했습니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임을 깨닫게 해 주는 작은 알림이 됐으면 합니다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새끼 공룡은 성장 속도가 빨라 발자국이 드물다. 연구팀은 이 공룡에 ‘드로마에오사
우리
포미페스 라루스(Dromaeosauriformipes rarus)’라는 이름을 붙였다. ‘드로마에오사우루스 류 공룡과 발 형태가 비슷한, 희귀한 공룡’이라는 뜻이다. 소형 랩터 공룡 발자국 화석을 근거로 복원한 소형 랩터 ... ...
마약중독치료제 및 항암제 후보물질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30년 이상 학계의 관심을 받아왔음에도 합성하지 못한 난공불락의 천연물로 여겨졌는데
우리
가 이번에 최초로 합성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에 합성한 7종의 물질이 다양한 항암제 및 마약중독 치료제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