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계산과학·공학을 쉽고 빠르게, 에디슨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에디슨을 이용해 초음속과 아음속에서 전투기의 비행효율을 높이는 에어포일(비행기 날
개
의 유선형 단면)을 설계했다. 조금원 센터장은 “심사위원이었던 서울대․카이스트 교수들이 윤 씨의 연구를 전문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말했다.윤 씨는 “에디슨에 연동된 슈퍼컴퓨터로부터 ... ...
[헷갈린 과학] 산수유나무VS생강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모서리가 말려 있거나 3갈래로 나눠진 부분이 있어요. 잎맥은 가지 쪽에서 동시에 여러
개
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예요.여름이 되면 생강나무에 작은 콩처럼 생긴 초록색 열매가 열려요. 꽃처럼 가지에 붙어 꼿꼿하게 서 있지요. 익으면서 점점 자주색으로 변하고 9월이 되면 검은색을 띠어요. 이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들어봤다.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데이터과학자가 어떤 사람인지 소
개
할 수 있게 돼 기쁩니다. 먼저 제 어릴 적 이야기부터 하는 게 좋겠네요. 저는 수학을 좋아하는 아이였답니다. 특히 답안지에 없는 새로운 풀이를 만들어내는 일이 좋았어요. 남들하고 다르게 푸는 데서 재미를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수 있었다. 연구팀은 패드 발바닥에 게코도마뱀 발바닥 하나에 해당하는 발판을 여러
개
붙였다. 발판의 일부분만 닿아도 게코도마뱀 발 전체가 들러붙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미끄러지는 힘을 분석한 결과 패드 전체가 닿을 때와 일부분이 닿을 때가 많이 다르지 않았다.연구팀은 키 18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가정했다. 그리고 플래닛 나인의 지름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같은 데이터를 자체
개
발한 수학 모형에 적용했다. 그 결과 플래닛 나인이 거대한 얼음행성일 거라고 추측했다. 수소와 헬륨으로 얇게 덮인 대기는 영하 226℃이며, 내부에 있는 철 핵과 규산염 맨틀로부터 열이 나온다고 밝혔다. 플래닛 ... ...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사람에게 푸짐한 상품을 드립니다. 게임의 방법은 간단합니다. 여기 칸의
개
수가 다른 두
개
의 룰렛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저와 대결을 벌이면 됩니다. 룰렛이 분홍색 칸에 멈추면 점수가 올라가는데요. 8칸 룰렛은 100점, 4칸 룰렛은 50점을 얻습니다. 당신은 어떤 룰렛으로 게임에 참여하겠습니까 ...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40만
개
를 녹여 팔려다가 한국은행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다. 10원짜리 동전 한
개
에 들어있는 구리의 가치가 약 30~40원이었기 때문이다. 주물업자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인 10원짜리 동전에 구리가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 어떻게 알았을까?10원짜리 동전 속 구리의 비율은?2300년 전, 그리스의 ... ...
[수학동아클리닉] 단위로 알아보는 겉넓이와 부피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점을 이용하면 더 간단히 겉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직육면체의 전
개
도를 활용해 2
개
의 밑면과 옆면의 넓이의 합을 더하면 됩니다.길이를 잴 때 단위길이를 이용하고 넓이를 구할 때 단위넓이를 이용하는 것처럼, 부피를 구할 때에도 단위부피를 이용합니다. 가로와 세로가 각각 2배씩 늘어나면 ... ...
[과학뉴스] 프로바이오틱스는 돈낭비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한 기존의 연구 7
개
를 임의로 뽑아 분석한 결과, 단 한
개
의 연구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장을 건강하게 만든다고 알려진 살아있는 균으로, 국내외에서 음료와 캡슐 등으로 판매되고 있다.논문 제1저자인 낫자 크리스텐센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100km2에 달하는 빙산은 약 한 달간 총 457km(하루 평균 2.1km)를 이동했다(A 기준). 빙붕이 쪼
개
진 시각은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빙붕의 이동은 육상에 남아있는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