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컴퓨터 사용자들은 항상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안전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난해
초
한국데이타통신이 '바이러스서울연합' 이란 유령단체로부터 시스템파괴 협박을 받았을 때 이 회사는 단말기의 암호를 모두 바꾸고 운용요원을 24시간 철야대기시키는 등 시간적 물적 피해를 입은 외에도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해야 하며, 일단 발사한 뒤에 목표지점에서 충분한 폭발력을 지니려면 임계질량을
초
과해야 한다. 다시 말해 보관할 때에는 핵물질이 분산돼 있다가 목표지점에서 일시에 모아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계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강대국들도 고심하고 있다. 어떻게 핵무기를 비밀리에 보관하고,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가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촌은 공동으로 우주쓰레기 처리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태
초
에 에덴동산을 인류조상이 선악과로 오염시켜 혼이 났는데 최근 이런 사실을 잊은 후예들이 무책임한 행위로 스타워스를 방불케 하며 우주로 인공위성을 난사하는 것에 하늘의 진노가 언제 있을지 두렵기만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천
초
보다 빠른, 즉 소립자 물리학 법칙이 우주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때인 ${10}^{-36}$
초
로 돌아갔을 때 우주는 어떠했는가 하는 등이다. 이 새로운 우주론은 일반상대론자, 입자물리학자 그리고 천문학자 모두에게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다.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일어났던 일반상대성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용한 에니악은 50만개의 배선을 일일이 손으로 하나씩 납땜하여 만든 전자계산기로서 1
초
에 1천만번 이상의 연산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30t의 무게에 길이가 30m로 작은 체육관 크기였으며 그 발열량은 6층 건물을 충분히 난방시킬 수 있을 정도였다. 에니악은 원래 조사용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 ...
5 「통신사각지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95년쯤이면 사라지게 될지도 모른다.대신 각기업이나 기관들은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초
소형 지구국)라 불리는 소형 지상 안테나 장비를 자기 건물 내에 설치, 전용 데이터 통신망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이다.이러한 사설 네트워크의 손쉬운 구성은 현재 비싼 회선 이용비용과 원활치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 점들이 조합되어 여러가지 글자나 도형을 만들어낸다. 이것의 실용화는 1970년대
초
부터 맹렬히 불기 시작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열풍에 힘입은 바 크다. 데이지휠에 비해서 비록 글자모양은 예쁘지 않지만, 다양한 글씨체와 수많은 기호를 찍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데이지휠과 비교할 수가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경계조건들은 북쪽 방향을 지구의 북극으로 명확하게 규정지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초
기 시간을 명확히 할 수 없다. 대폭발 이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느냐고 묻는 것은 북극에서 북쪽으로 1km 지점에 있는 한 점을 찾는 것과 같다.시간이 시작됐을때 우리가 측정한 양에는 모서리가 있다. 지구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용하고 있는 것이 많다. 그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별이라는 용어다."새벽이나
초
저녁에만 아주 밝게 보이는 별은 무엇입니까?""금성(샛별)입니다."퀴즈대회같은 곳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다. 그러나 이 경우 질문 자체가 완전히 틀렸다고 할 수 있다. 원래 별이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되었다. 공기에 닿으면 자연발화하는 황린의 성질을 이용, 최
초
의 성냥을 만든 것이다. 최
초
의 흰 인(황린)성냥은 1832년 독일의 칸 멜러와 1827년 영국의 J.워커가 각각 따로 발표했다. 한편 염소산칼륨과 유황을 섞은 발화약을 바른 뒤 이것을 진한 황산에 적시면 안전하고 편리한 침적성냥이 된다. 184 ... ...
이전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