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햇볕없는 곳에서도 신나게 달리는 태양 에너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장착하면 결과적으로 차량의 중량이 커져 주행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차량개발
초
기단계에서부터 신경써야 할 것이 많다. 이를테면 공기저항을 줄여주기 공기역학적 차체설계를 도입하고 모든 부품들의 경량화를 추구함으로써 과중한 차량무게로 인해 주행성능이 떨어지는 약점을 보완할 수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8백℃ 이상되는 것이 합금의 매력이라면 매력이다.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이상적인
초
내열합금인 'R합금'은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졌다. 즉 합금설계수법을 컴퓨터에 입력해 간단히 얻어낸 것이다. 「금속에의 도전자」금속끼리의 섞음이 아니면서도 합금이란 말로 표현되는 신소재가 있다. ... ...
그래픽워드 프로세서 첫 시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휴렛팩커드에 이미 납품했으며, IBM OS/2용 워드프로세서도 제작중이다. 이와 함께 92년
초
에는 컬러지원 XMS(연장메모리) 지원 등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2.0버전을 선보일 예정이다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화석종의 증감을 나타낸 곡선을 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캄브리아기
초
에 급격한 수의 증가를 보인다음 증가추세가 일단 둔화되는 기간을 거친다. 그후 오르도비스기에 또 한번의 급격한 생물종의 증가가 나타나고, 그 이후로는 고생대 전기간을 통해 거의 평형상태를 이루게 된다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틀림없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러한 발전이 고전과학에서 제안된 이상적 원형에 기
초
한 것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의심할 여지없는 자연환경의 새로운 구도를 해결하고자 하는 열정에서 기인했다는 것이다. 적응성과 유연성은 비선형 역학계가 찾아낸 인간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공전에 따른 지구그림자의 모양을 나타내는 촬영법이다. 마지막으로는 망원경이나 장
초
점 망원렌즈를 이용한 확대촬영이다.여기서는 특별한 장비가 필요없이 손쉽게 카메라(B셔터내장) 삼각대 릴리즈만으로 촬영가능한 첫째와 둘째의 방법을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다중노출에 의한 ... ...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했다. 올해에만도 아시모프의 대작 '파운데이션(Foundation)'시리즈가 번역 소개됐고 내년
초
까지는 대여섯개 출판사에서 시리즈물을 포함해 최소한 2,30권의 SF가 번역, 소개될 예정이다. SF가 인기를 얻는다는 것은 그간 딱딱한 학교과학교육을 끝으로 과학과 친해질 기회가 없었던 일반인들도 과학적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말하면서 "이번에 개발된 비선형 지향성 연동장치는 최근 전자공학에서 주력하고 있는
초
미립자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또다른 연구자인 스튜어트 애치슨 박사는 지난 여름 미국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의 전자광학센터에서 이 소자가 10ps의 속도로 투사된 빛과 같은 시간대에 작동되는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수(手)작업으로 만든 이 제품이 선을 보이자 곳곳에서 주문이 들어왔다. 그 결과 89년
초
에는 회사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후 판매량이 꾸준이 늘어나 이제 한달 평균 30만개가 팔려 나가고 있다. 하나의 기발하고 성공적인 발명 덕분에 기씨의 공장은 불이 꺼지는 밤이 없을 정도로 대호황을 맞고 있는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전망. 하지만 본격적인 제품연구는 아직 부진하다. 서울대 성굉모 교수팀이 지난 2년동안
초
음파 진단용 탐촉자를 개발해 일부 중소기업에서 생산해내고 있으며, KAIST의 김호기교수팀이 차세대 전화기용 압전세라믹스를 개발한 정도.기능성 신소재는 아직 무궁무진한 미개척 분야다. 필요에 따라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