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벚꽃 vs 매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인답니다. 살구꽃살구꽃은 둥그런 꽃잎, 짧은 꽃자루, 도드라져 보이는 수술 등 모두 매화와 같은 특징을 가졌어요. 하지만 꽃받침을 보면 구분할 수 있답니다. 살구꽃 꽃받침은 뒤로 활짝 젖힌 모습이거든요. 꽃을 감싸고 있는 매화의 꽃받침과는 확실히 구별되죠 ... ...
- 현존하는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장 피에르 세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영향을 미쳤다.부르바키는 상당 기간 동안 비밀결사로 존재했고, 구성원이나 회합장소도 모두 비밀리에 이뤄졌다. 연간 3회 비밀스럽게 열리던 부르바키 학술대회는 회의를 주재하는 의장도 없고, 발표순서도 없이 진행됐다. 발표 중에도 비판과 질문을 통해 발표를 중단시킬 수도 있었다.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못한다. 참과 거짓, 의미와 무의미, 존재와 무, 빛과 입자, 시간과 공간, 여래와 중생… 모두 다만 헛된 이름일 뿐, 이름을 넘어선 곳에서는 그 모든 것들이 결코 이름 붙일 수 없는 모습으로 세계 그 자체를 이루고 있다. 원숭이는 몸을 떨며 눈을 깜빡였다. 세계가 열리고 세계가 닫혔다. 아무것도 ... ...
- 제 4 회 국립과천과학관 온라인수학게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도형, 비와 비율 이렇게 5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어. 차례로 5개 영역을 완료해야 하므로 모두 잘하도록 실력을 키워야 해.아~, 헷갈리우스가 헷갈리나에게 자신의 보물을 주고 알아낸 비법이 그만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에게 공개됐다는 사실을 듣고 괴로워하고 있네요. 보물이 약했던 걸까요?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자신이 사용할 유전자만 따로 골라 ‘노트 필기물’인 전령RNA를 만든다. 이런 전령RNA를 모두 찾아 종류를 확인하면 그 세포나 조직이 사용하는 유전자를 확인할 수 있다.뇌는 기억과 학습을 거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서도 변한다. 뇌는 끊임없이 뇌세포를 새롭게 연결하며 이 과정에서 특정한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시야를 넓히지 못한다. 안용락 국립수산 과학원 고래연구소 박사는 “고래는 목뼈가 모두 붙어 있기 때문에 목을 좌우로 돌리거나 위아래를 쳐다볼 수 없다”며 “수면으로 올라오다가 큰 배를 미처 보지 못하고 부딪쳐 죽는 사고가 많다”고 말했다.편집자 주이 기사에 제시된 사진들은 이해를 ...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값을 실제 극지 얼음의 굽힘강도 대비 탄성계수 값인 2000~5000에 가깝게 만든다.얼음을 모두 얼리면 영상 2℃로 올린다. 물속과 얼음의 온도는 여전히 0℃다. 얼음의 표면은 녹지만 동시에 다른 부분은 얼면서 얼음 전체 강도가 서서히 낮아진다. 처음 얼린 얼음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목표 강도보다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고 정보를 얻는 능력과,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새로운 능력이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뇌지도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먼저 정보 탐색 기능을 보자. 자비스는 주인이 접하는 모든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한 뒤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를 선별해야 한다. 그 뒤 이를 적절한 형태의 ‘자료 (데이터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것이다.그러나 하늘을 나는 동물 중 깃털을 이용하는 것은 오직 새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얇은 막을 이용한다. 과거 익룡이 그랬고, 지금은 박쥐와 날다람쥐가 그렇다. 인간이 만든 글라이더도 비슷하다. 새는 깃털이라는 탁월한 비행 구조를 개발하면서 하늘을 나는 최고의 동물이 된 것이다(가벼운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다른 미국 친구들에게도 요리해 줬습니다. 김치를 한 번도 먹어 본 적 없는 사람들이지만 모두들 김치 타코를 좋아하더군요. 이들 중에 김치에 흥미를 느낀 사람들도 생겼습니다. 김치 이야기를 듣더니, 더 나아가 한국 사람을 알고 싶어 했지요. 물론 한국 문화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고요. 김치 ... ...
이전5065075085095105115125135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