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d라이브러리
"
실마리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올라가는게 아니라 떨어진다. 넬슨박사팀은 수많은 실험을 통해 이 수수께끼를 풀
실마리
를 찾았다.곰이 겨울잠을 자는 동안 곰의 방광에 카테터를 꽂아 조사한 결과 곰은 겨울동안 오줌을 아주 조금밖에 만들지 않는다. 그러나 어쨌든 이 오줌은 방광에 차 있지 않고, 오줌에 포함돼 있는 요소와 ... ...
유전자검색 어떻게 활용되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범죄수사에서 탐식자 DNA에 의한 유전자형 검색 방법이 난관에 빠져 있을 때 문제해결의
실마리
를 던져준 사람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세투스(Cetus)회사 연구원들이다.이들은 DNA의 특정부위만을 증폭시키는 방법을 개발해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이라 이름지었다. DNA는 A(adenine) G(guanine) T( ...
피라미드 건설기술자 무덤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다고 단언한다.지난해 초 이집트를 찾은 한 미국여성의 특별한 체험이 이 대발견의
실마리
가 되었다. 그는 말을 타고 스핑크스의 남동쪽을 구경하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그가 탄 말이 놀라서 제멋대로 달리기 시작했다. 급기야 그 말은 등을 꼿꼿이 세우더니 야트막한 언덕에 '꽝'하고 부딪치고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과학적이다.방금 사고가 일어난 도로를 한번 점검해보자. 과연 여기에서 어떤
실마리
를 찾을 수 있을까. 교통사고 조사과정에서 관련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도로상에 나타난 사고의 흔적이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차량의 충돌전 속도를(스키드마크 또는 운동량보존의 법칙을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의 아버지 루이스 알바레스. 고생물학자가 아닌 지질학자와 물리학자의 손에서 해결의
실마리
가 보이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북부에서 중생대부터 신생대에 걸친 지층을 조사한 월터는 양측 경계에서 1.2cm 두께의 적색점토층을 발견했다. 루이스가 이 가운데 포함된 이리듐 농도를 측정한 결과,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새 옷을 버려 속상해하던 류군은 우연히 껌을 씹는 도중 땅콩과 함께 씹어보다 해결의
실마리
를 찾게 되었다.껌과 땅콩을 함께 씹어 보니 껌이 분해되는 참으로 '이상한'현상을 발견했던 것이다. 기름이 껌을 분해하는 게 틀림없다고 생각한 류군은 이때부터 참기름 들기름 면실유 땅콩기름 등 각종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희생되는 것처럼 과학기술도 경제논리와 정치논리에 떠밀려다니고 있다.문제의
실마리
를 풀아나가야 할 정부의 이같은 단견과 삐걱거림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정책이 파행을 빚는 현상은 도처에서 발견된다. 혁신적인(?) 과학기술세우선 과학기술 연구개발활동의 가장 중심적 요소인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른바 자기조직화. 이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해명하지 못했던 여러 난제들이 해결의
실마리
를 찾고 있다.물리적 현상에서 고전적인 관점은 물리학적 법칙을 따라가며 원인의 단계에서 조그마한 자극이나 변형을 주고 변화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960년 이후 이러한 사고의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후 날씨가 흐린 날에 제 집을 찾아오게 하면 과연 어떻게 될까?①비둘기는 태양의 방향을
실마리
로 삼아 길을 찾기 때문에 흐린 날에도 태양의 위치를 자외선으로 감지, 정확하게 집으로 돌아온다.②비둘기는 눈 뒤에 있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조진을 활용, 지구의 자기장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 ...
울릉도 보물선을 건져 올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등에 의해 1973년부터 지금까지 아홉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지만 아직도 인양에 대한
실마리
를 풀지 못하고 있다. 이순신 장군이 함대 지휘를 하지 못했던 시기에 여러 거북선이 침몰했으므로 패전 해역을 중심으로 고성 충무 거제도 여수 인근의 옛 격전지를 조사했으나 대상해역이 매우 넓어 탐색에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