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d라이브러리
"
실마리
"(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다른 분야와는 달리 '별난 창조적인 주제'를 찾을 필요없이 이들 주제 중에서 해결의
실마리
만 찾으면 노벨상은 '따놓은 당상'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나 이 주제는 기초의학에 대한 물적 인적 투자가 선행되지 않으면 접근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의학생리학 분야에서 한국인 노벨상감을 꼽기 어려운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비판하고 새로운 세계관을 모색하는 틀로서 엔트로피 법칙을 들고 나왔다. 그의 논의의
실마리
는 다음 글에서 잘 드러난다."세상은 갈수록 혼돈의 와중으로 빠져들고 있다… 여기저기서 끝없는 수선과 짜집기의 연속이다. 위기를 넘겼다고 생각하는 순간 또 다른 사건이 터진다… 거기 관련된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이 뗏목이다. 호주 원주민들이 태즈 메이니아로 건너온 방법과 시기를 어림짐작하는
실마리
를 제공하기 때문이다.헤엄치거나 뗏목을 타고 1백50마일의 바다를 건너갈 수 없음이 분명해짐에 따라 호주대륙과 태즈메이니아섬 사이가 맨땅이었던 빙하기에 호주 원주민이 도보로 섬에 당도하여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호모 에렉투스가 어떠한 과정으로 아시아로 퍼져 나오게 됐는지는 아직도 전혀 해답의
실마리
가 없는 미스터리 중의 하나다. 왜냐하면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자바 사이에는 아직도 이 시기에 근접하는 유적이 하나도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단지 최근에 인도에서 시대가 올라가는 유적들이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형태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고슴도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실마리
를 잡지 못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그들은 고슴도치 분자들 자체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있다. 그것들이 어떤 종류의 단백질인지, 그것들이 어떻게 배의 세포를 특정한 운명에 적응하도록 하는지는 모두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얻어냈다. 그의 연구결과는 지느러미 고래의 유별난 습성을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실마리
가 되었다. 즉 그들은 매년 겨울철 서식지를 바꾸는데, 각자 따로 여행을 떠나는데도 불구하고 거의 낙오자없이 목적지에서 집합하게 한 비결이 밝혀진 것. 아마도 그들이 아주 멀리까지 신호를 전달하는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얻었기 때문이다. 꽃의 향기가 춤을 추는 벌에 묻어 있고, 집 밖에는 그 냄새에 대한
실마리
가 남아 있으며, 척후벌이 남겨 놓은 흔적이 있다. 어떠한 일벌이라도 복단에는 냄새를 풍기는 샘을 가지고 있다. 밀원을 발견하면 그 샘에서 분비물이 나와 냄새를 꽃위에 남긴다.만일 밀원이 집에서 90m 이상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주로 일어난다.자연현상은 이러한 동위원소의 분별현상을 동반한다. 그래서 지질사건의
실마리
를 푸는 데 동위체 존재비의 특성 즉, 지문이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안정동위원소로 메탄가스유형 구분석유와 안정동위체의 특성을 연결시키려면 먼저 석유의 형성과정에 대한 개념을 염두에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유전공학기술과 게놈연구를 통한 다양한 효소의 유전정보를 확보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
를 찾을 수 있다.■탄수화물공학탄수화물의 효소반응과 생체기능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지면서 탄수화물이 생체인식과 의약품개발의 주요소재로 새로운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탄수화물공학기술은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생전에 자신의 두뇌를 연구용으로 쓰라고 주장했다"는 대목이다.1978년 이 글에서
실마리
를 얻은 당시 '뉴저지 먼슬리'의 편집자 스티븐 레비가 아인슈타인의 두뇌를 추적, 이 두뇌를 보관하고 있던 '평범한' 병리학자 토머스 하비를 찾아냈다. 하비는 아인슈타인이 타계하던 당시 부검 현장에서 따로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