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험대학] 당신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응원합니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로켓 발사에 실패해서 수상을 예상하지 못했는데, 준비 과정에 큰 점수를 주신 것 같아 감사합니다.”고도 70~80m에 직접 만든 로켓을 쏘아 올리는 연구를 수행한 김대연 군(경기 광주 광남고 2)은 지난해 12월 29일 온라인 화상플랫폼을 통해 개최된 비대면 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K-REM) 수료식에서 ... ...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2021년 12월 저명한 과학 학술지 표지를 내가 장식했어.표지에 나왔다는 건 그만큼 나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뜻이지!어떤 연구로 내가 실렸는지 바로 알려 줄게~. 나를 만든 곳은 알파고를 만든 회사로도 유명한 ‘딥마인드’야. 딥마인드는 2010년부터 AI를 개발해 인간의 지능을 구현하려고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3D 프린팅으로 만든 OLED 탄생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머지않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디스플레이를 집에서 직접 인쇄해 즐기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미국 미네소타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3차원(3D) 프린터로 OLED 디스플레이를 인쇄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l ...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지금 이곳에선 2018년 필즈상 수상자인 페터 숄체 독일 본대학교 교수님의 증명을 검증하고 있어. 심사위원은 바로 나! ‘LEAN(린)’이야. 소프트웨어(SW)가 지구 최고 수학자의 증명을 검증한다니 놀랍지? [계산이 복잡할 땐 나를 불러! 린] 후우~. 검증이 끝나고 바로 달려왔어. 놀라지 마! 내가 숄체 ... ...
- [과학뉴스] 기억력 3초 오해는 그만, 금붕어는 운전도 한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너 금붕어냐?” 무언가를 금세 잊어버린 사람에게 흔히 하는 농담이다. 그런데 금붕어의 기억력이 사람들의 편견보다 훨씬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벤구리온대 연구팀은 바퀴 달린 어항(FOV) 속에 담긴 금붕어가 스스로 어항을 운전해 목표 지점에 도달하도록 훈련시키는 데 성공해 ... ...
- [가상 인터뷰] 물리학, 거위의 구원자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푸아그라’라는 식재료를 들어본 적이 있니? 거위의 기름진 간을 뜻하는 푸아그라는 부드러운 식감 때문에 세계 3대 진미라고 불리는 식재료야. 하지만 맛있는 푸아그라를 얻으려는 사람들 때문에 사육장의 거위들이 고통받고 있어. 다행히 거위를 위해 푸아그라의 식감을 밝혀낸 물리학 연구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1장. 역설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역설’ 나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년 동안 역설 나라 곳곳을 둘러볼 예정인데요, 첫 시간이니 오늘은 역설의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면서 친해지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역설, 그것은 진리로 꽃피워날 씨앗이다.” - 벨기에의 생물학자 레오 에레라 역설이란 문제 없어 보이는 전제들로부터 ... ...
- 우주, 미래 산업의 무대가 되다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그동안의 우주탐사는 미국이나 러시아처럼 국가가 주도하던 ‘올드 스페이스’였지만 미래는 다릅니다. 우리와 같은 민간 기업이 적극적으로 우주에 뛰어드는 ‘뉴 스페이스’가 주류가 될 것입니다.”2020년 6월, ‘서울포럼 2020’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최된 제2회 서경 우주포럼에서 미국 아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7일 안에 완성하는 건.”수호와 장만이 대화하는 동안 태양이 5도만큼 이동했기 때문에 그림자가 수호의 입-손을 가리기 시작했다. 장만은 수호의 입-손이 밝은 햇빛에 드러나도록 천막 입구를 활짝 열고 다시 물었다.“7일 안에 남은 부분을 완성할 수 없다는 뜻이야?”“그래. 불가능해.”장만은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2003년 처음으로 인간 유전체(게놈) 지도가 완성됐다. 당시 인류는 희귀질환을 비롯한 각종 유전질환을 곧 극복할 수 있을 것처럼 흥분했지만, 그때의 기술과 데이터는 아직 꿈을 실현시키기에 충분치 않았다.그로부터 약 20년이 지난 지금, 다시 게놈이 희망의 불씨를 지폈다. 게놈 해독 기술이 급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