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뉴스
"
정확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시세끼 어촌편2] 찬바람 불면 생각나는 참바다 유해진의 꿈, 감성돔
동아사이언스
l
2015.12.11
암컷이 되진 않습니다. 난소가 발달하는 정도는 호르몬에 달려 있습니다. 일반적인,
정확
한 양의 성호르몬이 분비가 되면 난소가 크게 발달하면서 암컷이 되지만 성호르몬이 덜 분비가 되면 난소가 덜 발달하면서 여전히 수컷으로 남습니다. 물고기 입장에서 보면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가 안 된 ... ...
재난 보도 수준…세월호와 메르스가 "똑같네"
2015.12.10
못한 언론의 민낯이 드러났다”며 “과열된 보도경쟁보다 대중을 혼란에 빠트리지 않는
정확
한 정보 전달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메르스 유행과 언론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강 학장은 “메르스 사태에서 불분명한 자료를 토대로 비정상적으로 높은 ... ...
‘나노’ 세계의 물에도 ‘난류’ 존재한다
2015.12.10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약 10년 전에 처음 밝혀졌지만 그동안
정확
한 원인은 알지 못했다. 제원호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수화층에서 일어나는 점성의 변화 원인을 실험으로 증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원자힘현미경(AFM)으로 친수성 고체인 ... ...
부부 과학자, 알츠하이머병 치료 결실 앞둬
2015.12.10
”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국내 환자는 40만 명을 넘어섰지만 치료제는 물론이고
정확
한 진단법조차 없는 상황이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속 부부 연구원이 알츠하이머병 분야에서 굵직한 연구 결과들을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다. 김영수 선임연구원(37)과 김혜연 초빙연구원(39)이 주인공. ... ...
[Health&Beauty]난청 정도와 신경손상에 따라 보청기 기능 달라져야
동아일보
l
2015.12.09
동아일보] 맞춤 보청기 착용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면 안경을 쓰게 된다. 또 말소리가
정확
하게 들리지 않으면 보청기를 착용하게 된다. 안경과 보청기의 차이점은 뭘까. 안경은 글 등을 잘 보이게 하고 보청기는 소리를 잘 들리게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지만 둘은 근본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 ... ...
골프장 경사, 잔디 특성 한눈에 보는 신개념 골프앱 나왔다
2015.12.08
중계방송의 지형정보 자료로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서호성 연구원은 “표준연의
정확
한 길이 측정기술을 이용한 앱으로 많은 골퍼들의 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보건당국, 건대 폐렴 원인으로 ‘방선균’ 추정
포커스뉴스
l
2015.12.08
보고된 사례가 없어 최종확인을 위해 미국에 보내 검사를 하고 있다. 검사결과가 나와야
정확
한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보건당국은 동물실험 등 명확한 병리기전 규명을 진행중이다. 이 실험은 방선균 및 환경에서 채취된 항원(진균)을 실험쥐 기도내 투여한 후 나타난 실험쥐 ... ...
아담은 930년 살았는데, 현생 인류는 왜 100년만 살까
2015.12.06
역시 노화를 막을 수 있는 열쇠다. ‘노화과학(Geroscience)’ 분야 연구자들은 노화의
정확
한 기작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 점점 건강수명과 절대수명 모두를 관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라 말한다. 연구가 계속되면 노화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 ...
우주 중력파 검출을 위한 첫 단추, LISA 패스파인더 발사
2015.12.03
이 거리는 원자핵 지름의 1000분의 1에 불과한 짧은 거리다. 이렇게 작은 거리의 변화를
정확
하게 측정하기 위해선 레이저 간섭계에서 레이저가 이동하는 거리가 최대한 길어야 한다. 지상에 건설된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가 4㎞에 이르는 광로(光路)를 이용해 중력파 검출을 시도하는 것도 ... ...
학부생이 쓴 논문이 벌써 이 학술지에!
2015.12.03
물리학 분야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PRL)’에 논문을 발표한 UNIST 학부생 김이영 씨(오른쪽)와 조범석 UNIST 교수. - UNIST 제공 세계적인 물 ... 연구할 때가 가장 행복하다”며 “앞으로도 연구에 매진하며 분자의 성격을
정확
하게 규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