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제타가 보내온 화석의 정체, ‘집적 장벽’ 딜레마 해결할까?
동아닷컴
l
2014.12.24
때 별 주변을 원반 모양으로 돌고 있는 먼지구름. 집적 장벽이란
작은
먼지 조각들이
작은
덩어리로 서로 뭉치다 1cm 등의 일정 비율로 커지면 고속의 충돌이 발생해 덩어리로 나아가지 못하고 알갱이들로 분해되고 마는 성질을 말한다. 우리 과학의 수준은 cm 크기의 알갱이들이 어떻게해서 집적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였다. 프리드먼 교수는 ob유전자가 아미노산 167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단백질, 즉 식욕억제호르몬을 렙틴(leptin)이라고 명명했다. 물론 db유전자 역시 콜맨의 예상대로 렙틴 수용체를 암호화했다. 흥미롭게도 렙틴은 주로 ... ...
남극 얼음 밑 신비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올린 뒤 아라온 위에서 포즈를 취했다. 이 지진계에는 장보고기지 근처에서 일어난 크고
작은
지진을 약 1년 동안 기록한 데이터가 고스란히 담겼다. - 극지연구소 제공 연구진이 지진 활동을 감시하는 이유는 빙권(氷圈)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서다. 빙권의 움직임은 해수면 변화 등 전 지구적인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모태가 되는 공룡 계통의 몸집이 점점 작고 가벼워져 간다는 것이다. 두 대 이상
작은
로봇이 협력해 공동 임무를 수행하는 ‘군집로봇(스웜봇·SwarmBot)’도 주요 연구 성과로 소개됐다. 각 로봇에는 무선수신기와 센서가 내장돼 있어 다른 로봇과 함께 도형이나 글자 등을 만들 수 있다. 인간의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플라스틱 렌즈가 미세하게 부풀어 올랐다. 맨눈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수준의 아주
작은
변화였다. 그 순간 렌즈 밑에 있던 흐릿한 알파벳이 또렷하게 드러났다. 렌즈의 곡률이 변하면서 도수가 달라졌고 초점이 맞아떨어진 것이다. 전압을 조금 바꿔줬을 뿐인데. 눈앞에 있는 작고 투명한 렌즈는 ... ...
‘살인진드기’ 전멸시키는 물질 드디어 발견
2014.12.18
교수팀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을 유발하며 일명 ‘살인진드기’로 불리는
작은
소참진드기와 집먼지진드기를 죽여 없애는 새로운 바이오 물질을 찾아냈다. 살인진드기에 물리면 혈소판이 감소하면서 패혈증과 백혈구 감소 등을 일으켜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른다. 지난해에는 살인진드기에 ... ...
美 90m 잠수 로봇 물고기 성공, 한국 4대강 로봇 물고기 혈세 57억 ‘꿀꺽’
동아닷컴
l
2014.12.16
“90m 잠수가 가능한 이 로봇 물고기는 어류와 유사한 외형과 프로펠러 보다
작은
추진 소음으로 정보·감시·정찰 활동에 유리하며 선박 하부 점검 같은 용도로 쓸 수 있다. 미국에서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이 ‘고스트 스위머’ 계획을 성공시키자 지난 6월 논란이 됐던 우리나라 4대강 물고기는 또 ... ...
‘2014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함시현-임혜숙-유향숙
2014.12.15
위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임 교수는 칩에 내장된
작은
메모리로 가능한 한 많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칩의 외부 메모리로 접근하는 횟수를 최소화시켰다. 진흥 부문 수상자인 유 연구원은 2012년부터 ‘아시아태평양 여성과학기술인네트워크(APNN)’ ... ...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있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4.12.10
제공 미생물은 한자로 微生物, 영어로는 micro-organism, 즉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생물을 말한다. '미생물이 살지 않는 곳은 없다'고 할 정도로 미생물은 지구의 거의 모든 환경에 있다. 인간이 미생물을 연구한지 수백 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지구상에 있는 미생물 중 일부만 알고 있을 뿐이다. ... ...
쥐 세포나 코끼리 세포나 평균크기는 0.001mm
2014.12.08
망가진 세포핵이다. - 미국 프린스턴대 제공 포유류의 평균 세포 크기는 0.001mm다. 쥐처럼
작은
포유류에서부터 코끼리 같은 거대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세포의 평균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미국 프린스턴대 연구진은 세포의 크기가 그 이상으로 자라지 않는 이유가 중력 때문이라는 사실을 5일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